중소기업주, 은퇴 후 ‘제3자 매각’ 기피 ‘폐업’ 많아, “산업적 손실”
‘기업가정신 불신, 경제적 이득 불투명, 주변 사례 없음’ 등이 원인
후계자 없는 기업주 대상 ‘성공사례, M&A인식개선’ 등 중요

많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들이 참가한 '2025국제인공지능대전'.
많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들이 참가한 '2025국제인공지능대전'.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흔히 자녀나 배우자 등 후계자가 없는 경우 기업을 남에게 매각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냥 폐업해버리는 경우가 많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더욱 그런 사례가 많다. 이는 국내 산업으로서도 손해가 아닐 수 없다는 지적이 커지면서, 최근 정부는 후계자가 없는 경우 폐업을 막고, 기업의 승계를 촉진하기 위한 M&A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등은 이를 위해 올해 안에 ‘기업승계특별법’을 추진키로 했다. 전문가들은 사업승계형 M&A를 촉진하려면 인식을 개선하고, 성공사례를 널리 알리는 등 다방면의 노력이 요구된다는 의견이다.

이에 IBK경제연구소(연구소)는 중소기업의 승계계획과 인식을 조사, 분석한 결과를 일부 공개한 바 있다. 해당 분석 결과에 의하면, 국내 중소기업들은 승계를 하고자 하는 의지는 충분하지만, 정작 제3자를 대상으로 한 M&A 수요로 발전하진 못한 상태다.

이에 따르면 향후 10년 안에 중소기업의 과반 이상이 승계할 것으로 추산된다. 기업주별 은퇴희망 나이는 평균 73세 가량으로 조사되었다. 또 조사 대상 기업 대부분(72.9%)이 승계를 위한 외부지원이 필요하다고 했으며, 주로 계획/세무 컨설팅, M&A자문 및 중개주선, 후계자 육성, 금융지원(대출·투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작 제3자 M&A를 원하는 기업은 극소수였다. 매각을 적극 선호한다고 응답한 기업은 5.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IBK경제연구소]
[그림=IBK경제연구소]

이처럼 매각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는 기업의 선입견이나 M&A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때문이다.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아직까지 후계공백을 체감하지 못한 상태다. 참고로 일본의 경우 기업 매각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시기에 후계자가 없었던 기업은 전체의 65%가 넘었다. 그런 가운데 M&A가 적극적으로 이뤄진 것이다.

이에 비해 국내 중소기업들은 현재 후계자가 ‘있다’는 응답이 지배적(77%)이며, 대부분 자녀가 승계할 것을 예상하고 있다. “후계자가 있다”고 응답한 기업의 승계후보를 보면, 자녀( 92.5%) > 임직원 (4.2%) > 그 외 친족 (2.6%)> 손자녀 (0.5%) 순이었다.

후계자 없는 기업들도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전체의 53.7%에 달했고, 전문경영인 도입(33.1%)이나, 매각(M&A)(12.4%) 등은 상대적으로 그 비율이 적었다. 후계자 없는 기업도 매각(M&A)보다는 다른 방법을 선호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처럼 매각을 기피하는 중요한 이유로는 기업가 정신 계승에 대한 불신, 경제적 이득 불투명, 주변 사례 없음 등을 꼽기도 했다. 또 매각은 협상을 거쳐야만 이익(매각 이익)이 도출된다는 점이 걸림돌로 작용하기도 한다. 또한 기업 활동 과정에서 외부 자문경험이 없으면 상대적으로 매각을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변에서 매각이 성사된 사례를 접한 적이 없을 경우도 이를 기피하는 원인으로 꼽힌다. 여기서 ‘주변사례’는 ‘후계자 유무’ 만큼이나 중요한 선택 기준이 된다는 지적이다. 또 후계자가 없는 경우에도, 주변에 매각 사례가 많으면 M&A를 선호하기도 한다.

이 밖에 중개서비스에 대한 신뢰가 부족한 점도 부정적 요인으로 꼽힌다. 실제로 중개업체를 신뢰할 수 있다는 응답은 8.8%에 불과했다. 또 외부 컨설팅 업체의 가치평가 방법을 신뢰할 수 있다는 응답은 19.9%에 불과했다.

[그림=IBK경제연구소]
[그림=IBK경제연구소]

이에 사업승계형 M&A를 촉진하려면 정부와 금융기관이 유망기업을 적극 발굴, 자문 서비스에 노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문이다. 후계자의 승계 가능성을 기업이 조기에 점검하도록, 후계공백 문제의 지속적인 공론화도 필요하다.

IBK기업연구소는 또 “기업이 매각을 승계 대안으로 쉽게 떠올릴 수 있도록, 성공사례를 축적하고 관련된 캠페인도 필요하다”면서 “중개서비스에 대한 신뢰를 강화하는 등 M&A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권했다. 툭히 “경영 연속성을 높이기 위한 사후통합 서비스(PMI)를 확충하는 등 상황에 따라 세분화된 대안을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