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지역 중소기업 ESG 지원 업무협약
조선·기계·항공 등 지역 맞춤형 ESG 협력모델
[중소기업투데이 황복희 기자] 동반성장위원회와 경상남도가 함께 관내 중소기업의 글로벌 ESG 수출 규제 대응을 위한 역량 강화에 나선다.
동반성장위원회, 경상남도, 재단법인 경남테크노파크는 22일 동반위 회의실에서 ‘2025년 경남형 지속가능경영(ESG) 확산 사업’ 협약식을 갖고 ESG 기반의 지역 중소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협력을 본격화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동반위 이달곤 위원장, 경남도 김명주 경제부지사, 경남TP 김정환 원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해 ESG 중심의 지속가능경영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협약은 2023년 9월,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와 동반위 간 체결한 ‘지방정부 대·중소기업 간 동반성장 활성화’ 업무협약의 후속 조치로, 이를 실행 사업으로 구체화한 첫 사례다.
특히 동반위의 ‘협력사 ESG 지원사업’을 지자체와 연계해 처음으로 확장한 것으로, 기계·조선·항공 등 경남 지역의 산업 특성에 맞는 ESG 가이드라인 개발과 글로벌 규제 대응 역량 강화를 통해 실질적인 경쟁력을 제고하자는 취지다.
협약에 따라 총 1억5000만 원의 공동 예산(동반위 1억, 경남TP 0.5억)을 바탕으로, 경남 소재 중소·중견기업 32개사(동반위 20개사, 경남TP 12개사)를 대상으로 ESG 교육, 진단, 컨설팅, 확인서 발급, 현장지원단 운영 등 맞춤형 실무 지원이 제공된다.
경상남도는 2023년 기준 GRDP 137조 67억 원(전국 4위), 수출 464억 달러(전국 6위), 무역수지 221억 달러(전국 4위)를 기록하며 우리 경제 산업의 중심 지역으로서 위상을 갖고 있다. 거제, 창원, 사천 등지에는 한화오션, 두산에너빌리티, 한국항공우주산업 등 조선·기계·항공 분야 대기업과 협력 중소기업들이 밀집해 있다.
동반위 이달곤 위원장은 “이번 협약은 지역 산업의 특성에 맞춰 ESG를 내재화하려는 실질적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김명주 경남도 경제부지사는 “경남은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바탕으로 국내외 수출 비중이 높은 지역”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중소기업들이 ESG 경영을 기업 전략으로 내재화하고, 금융, R&D, 수출 인센티브와의 연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정환 경남TP 원장도 “중소기업들이 당면한 글로벌 공급망 규제 및 탄소중립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ESG 전략 수립, 맞춤형 컨설팅, 현장지원단 운영 등을 통해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동반위의 협력사 ESG 지원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파트너스 ESG 홈페이지(esg.winwingrowth.or.k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