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 혁신제품 임차·R&D·해외실증·ODA 등 원스톱 지원

임기근 조달청장(앞줄 가운데)이 27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혁신제품으로 선정된 26개 기업에 지정서를 수여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조달청]
임기근 조달청장(앞줄 가운데)이 27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혁신제품으로 선정된 26개 기업에 지정서를 수여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조달청]

[중소기업투데이 황복희 기자] 빗물순환 돕는 탄소틈새 투수블록, AI와 로보틱스를 활용한 스마트팜 솔루션, 알츠하이머 치료제 처방 소프트웨어...

조달청이 기술혁신으로 공공문제를 해결하는 26개 혁신제품을 지정했다. 조달청은 27일 서울지방조달청 PPS홀에서 공공성과 기술 혁신성을 인정받은 26개 혁신제품에 대해 지정서를 수여했다고 밝혔다.

혁신제품으로 지정되면 최대 6년 동안 수의계약 가능, 조달청 예산으로 시범구매(실증 테스트) 지원, 구매 면책, 구매목표비율과 우선구매 제도 등 공공판로 확보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받게 된다.

2019년 이후 지금까지 총 2320개 혁신제품이 지정돼, 특히 지난 한 해 1조원의 실적을 달성하며 공공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최근 조달청은 기후위기 대응, 탄소중립, 저출생 고령화 등 경제 사회 구조 변화에 대응해 전략적 조달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혁신제품은 기술혁신을 통한 사회난제 해결을 통해 전략조달에 앞장서고 있다.

이번에 지정된 혁신제품에는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되도록 유도해 빗물순환을 돕는 탄소틈새 투수블록, AI와 로보틱스를 활용해 줄기 이동을 자동화한 과채류 스마트팜 솔루션, 알츠하이머 치료제 처방기준을 제시하고 예후를 분석관리하는 AI 소프트웨어 등 신성장·신산업을 견인하면서도 사회문제 해결에 초점을 둔 제품들이 다수 포진해있다.

조달청은 기술력과 경쟁력을 갖춘 혁신제품들의 개발, 지정이 지속될 수 있도록 심사, 관리체계 개편 등 적극행정을 펼치고 있다.

올해 혁신제품 평가부터는 실시간 온라인 질의응답 방식을 새롭게 도입해 혁신제품 심사전문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평가위원들이 심사 과정에서 질의를 온라인으로 등록하고 기업들은 차세대 나라장터 시스템을 통해 사무실에서도 적정 시간을 갖고 이를 응답할 수 있도록 해 시공간적 제약을 없앴다.

이와 함께 조달청은 혁신제품 기업들이 공공판로를 통해 성장하고 해외조달시장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방위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임차방식의 시범구매 도입, R&D와 해외실증 확대, ODA 신규 도입 및 지원 확대 등 지원 분야와 범위가 대폭 확대됐다. 또한, 기업들의 현장목소리를 반영한 규제리셋을 통해 혁신기업들의 성장과 도약에 부담이 되는 규정과 규제는 전면 재검토할 계획이다.

임기근 조달청장은 “올해부터 임차, R&D, 해외실증, ODA 등 혁신기업이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을 확대했다”면서 “앞으로도 규제리셋을 포함해 중소․벤처기업들이 기술개발을 통해 도전․성장하고, 해외로 도약해 민생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