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기적의 도시 진주’, 세계 경영학자들 주목
손현식 효성TNS 사장 “효성家 부자정신, ‘기술입국’을 통한 빈민구제”

“한국 GDP(국내 총생산량)의 40%가 넘는 매출을 진주출신 기업가들이 올린다. 그래서 ‘진주를 ‘100년 기적의 도시’라고 불린다. 세계 경영학자들이 인구 36만 명에 불과 한 진주시를 주목하기 시작했다”(정영수 진주K-기업가정신재단 이사장)

지난 14일부터 15일까지 이틀간 진주시 능력개발관에서 전국의 대학생과 진주시민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주K-기업가정신 청년포럼’을 개최했다. 진주K-기업가정신재단과 매일경제가 주최한 이번 행사는 첫째 날 진주가 배출한 국내 4대그룹(삼성,LG,GS,효성) 창업주들의 생가방문에 이어 둘째 날 기업가정신에 대한 강연이 펼쳐졌다. 김기태 GS칼텍스 고문, 박승희 삼성전자 사장, 이명관 LG인화원장, 손현식 효성TNS 사장이 연사로 나섰다. 본지는 이날의 강연 내용을 4회에 걸쳐 게재한다. <편집자 주>

손현식 효성TNS 사장이 지난 15일 진주에서 열린 '진주 K-기업가정신 청년포럼'에서 효성그룹의 기업가정신에 대해 강연하고 있다. [박철의 기자]
손현식 효성TNS 사장이 지난 15일 진주에서 열린 '진주 K-기업가정신 청년포럼'에서 효성그룹의 기업가정신에 대해 강연하고 있다. [박철의 기자]

[중소기업투데이 박철의 기자]  “작은 기술이 천만금의 재산보다 낫다”

재계 순위 1,2위를 달리고 있는 삼성그룹과 LG그룹의 성장사(史)에는 각각 GS그룹과 효성그룹의 적극적인 참여와 후원을 빼놓을 수 없다. 다시 말해 진주를 대표하는 이들 그룹은 초창기에 모두 동업형태로 출발한 뒤 기업이 성장하면서 분가, 각각 독자적인 길을 걸어왔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효성그룹 창업주 만우(晩愚) 조홍제는 삼성그룹 창업주인 이병철 회장과 삼성물산을 창립, 오늘의 삼성그룹의 토대를 만드는데 적지 않은 기여를 했다. 이병철 회장이 일본 유학을 결심한 것도 조홍제의 역할이 크게 작용했다고 한다. 조홍제는 이병철의 형인 이병각 씨와 허물없는 친구사이로 알려진다.

조홍제는 1906년 경남 함안 지역의 명문가(家)에서 만석꾼의 아들로 태어나 1935년 일본 법정대 독일경제학과를 졸업한 당대 엘리트였다. 진주 지수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앙고보에 다니던 시절인 1926년 그는 당시 전국적으로 퍼진 6.10만세 운동에 참가했다가 퇴학을 당하고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결국, 만우는 일제의 감시를 피해 동경으로 유학을 떠났다. 동경에서 그는 집 한 채를 얻어 동성사(東星舍)라고 명명하고 유학생들의 회합장소 및 유학생들의 임시숙소로 제공하는 등 유학생들의 정신계몽에도 적극 나섰다. 동경 유학을 마친 뒤 고향으로 돌아온 만우는 농민계몽 운동과 독립운동을 하던 중 해방이 되자 기업경영에 눈을 돌린다. 그 첫발로 1948년 이병철 회장과 공동으로 삼성물산 설립에 참여한다. 그는 1962년까지 14년간의 동업관계를 청산하고 분가한 뒤 1966년 11월3일 늦깎이로 동양나이론을 창업한데 이어 1973년 동양폴레에스터를 설립하기에 이른다.

이 날 손현식 효성TNS 대표는 “자신이 전자공학을 전공한 엔지니어 출신”이라고 강조한 뒤 “조홍제 회장은 ‘조금 더디 가더라도 바른 길을 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믿음으로 민족의 독립과 독자적인 기술기업을 일으켜 가난한 민족의 삶을 개선하는데 앞장서왔다”는 말로 효성의 기업가정신을 설명했다.

경남 함안에 위치한 조홍제 효성그룹 창업주의 생가. 낮은 굴뚝은 춘궁기에 밥짓는 연기가 대문밖으로 피어오르는 것을 마을주민들에게 보이지 않기 위한 일종의 배려였다고 한다.     
경남 함안에 위치한 조홍제 효성그룹 창업주의 생가. 낮은 굴뚝은 춘궁기에 밥짓는 연기가 대문밖으로 피어오르는 것을 마을주민들에게 보이지 않기 위한 일종의 배려였다고 한다.     

세계시장의 52% 차지한 타이어코드

효성이 개발한 나일론은 ‘국민복’으로 불릴 만큼 공전의 히트를 쳤다. 손 사장은 “나일론이 장치산업이라는 엄청난 리스크를 안고 과감하게 투자를 한 것은 가난하고 헐벗은 국민들에게 값싸고 질기며 오래가는 전천후 화학섬유인 나일론 옷을 공급하기 위한 고육책이었다”며 “결과적으로 창업자의 선구안과 국민을 향한 측은지심의 발로”라고 창업 배경을 설명했다. 천연섬유는 물성이 좋지만 값이 너무 비싸 적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는 말이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효성은 산업용자재인 ‘타이어코드’ 사업에 진출한다. 이를 두고 당시 업계에서는 비웃었다. 하지만 효성의 기술개발에 대한 의지는 남달랐다. “천만금의 재산보다 우리 몸에 지닌 작은 기술이 낫다(적재천만 불여박기재신·積財千萬 不如薄技在身)”는 만우의 기업가정신은 결코 빈말이 아님을 증명했다. 2년 만에 타이어코드는 물론 1978년에는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까지 독자 개발해 업계를 놀라게 했다. 현재 세계시장에서 효성의 타이어코드 제품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무려 52%가 넘는다. 타이어코드는 타이어의 내구성과 주행성능,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타이어 내부에 들어가는 섬유 재질의 보강재다. 자동차의 안전과 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 소재다. 1971년 국내 최초의 민간기업연구소인 ‘효성기술원’을 설립한 것도 효성의 기술입국에서 비롯됐다. 손 사장은 지금도 효성은 “자나 깨나 불조심이 아니라, 자나 깨나 기술”이라는 말로 기술기업임을 강조했다.

손 사장은 “효성은 요즘 흔하고 흔한 합작사업을 하지 않고 있다”며 “합작사업은 잘 나갈 때는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운신의 폭이 좁아진다”는 말로 독자기술에 대한 효성의 자부심을 드러냈다. 이로 인해 효성은 외국에 기술개발에 따른 로열티를 단 한 푼도 지급하지 않고 있다는 말로 대신했다.

글로벌 시대 영원한 사업은 없다. 효성은 70년대 중반부터 원자재파동을 겪은 뒤 섬유산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사업다각화에 나선다. 1980년 국내 최초로 컴퓨터 공장 설립에 이어 카페트(스완카페트)사업 및 금융자동화기기 사업, IT사업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해 나간 효성은 90년대 들어서도 계속됐다. 효성은 1990년 폴리프로필렌 사업진출에 이어 국내 최초 765kv 초고압변압기 개발, 섬유의 꽃으로 불리는 스판덱스(크레오라)개발에 이어 2011년 GST(Global Safety Textiles)를 인수하고 스판덱스 브라질 공장을 설립했다. 최근 들어서는 외국기업과 과감하게 사업제휴에도 나선다.

종합 에너지솔루션기업으로 성장

손 사장은 “효성은 2001년 세계적인 타이어 회사인 미쉐린과 굿이어 공장의 일부를 인수하는 대신 효성은 원사를 이들에게 장기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냈다. 바로 타이어코드에 대한 독보적인 기술력이 그 바탕이 됐다”며 “여세를 몰아 2006년도에는 반도체산업에서 필수 소재인 크리닝가스 사업도 전개하는 등 기술경쟁력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고 밝혔다. 손 사장은 요즘 한참 뜨고 있는 K-방산도 설명했다.

그는 “과거 비행기의 외관은 두랄루민이라는 금속물질이 감싸고 있었는데 현재는 미래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탄소섬유로 대체되고 있다”며 “효성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일본 도레이가 가지고 있는 이 기술에 도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효성이 국방부 선정 방산업체로 선정돼 향후 잠수함 등에 사용되는 첨단 소재개발에 탄력이 붙을 것이라는 그의 전망이다.

현재 효성그룹은 2017년 조홍제 창업주의 3세인 조현준 회장이 그룹을 이끌고 있다. 조 회장의 지론에 대해 손 사장은 “효성그룹의 종업원이 2만5000명인데 이 중 80%가 기술자인 만큼 거의 매일 기술토론을 하는 것이 효성의 문화로 정착됐다”라며 “효성의 기술과 품질경영의 DNA를 통해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는 것이 기업의 최종 목표”라고 강조했다.

조현준 회장 취임 후 효성은 그간 흩어진 기업들을 각 사별 독립경영체제로 운영하고 있다. ‣(주)효성 ‣효성티엔씨(주) ‣효성중공업(주) ‣효성첨단소재(주) ‣효성화학(주) 등 5개사이다.

미래 산업으로 효성은 ‣종합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 성장한다는 방침아래 EPC기반의 턴키 솔루션 제공 및 ESS 사업과 함께 미래 빅데이터 시대를 리드하는 ICT서비스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인공지능(AI)기반의 스마트팩토리 사업,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한 변전소 자산관리솔루션, 데이터 센터 건립 등이다. 이와 함께 손 사장은 수소경제 기반 조성을 위한 세계 최대 규모의 액화수소 공장 건설과 수소충전 인프라 확대, 수소저장 솔루션 사업을 강화한다는 말로 이날의 강연을 마쳤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