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 제고보다, 만연한 비효율 줄이는게 효과적
포스코경영연구원, “임금삭감과 함께 도입하는 건 역효과”

주4일제가 도래하고 있다. [사진출처=픽사베이]
주4일제가 도래하고 있다. [사진출처=픽사베이]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대기업 연구소가 주4일 근무제에 대해 “시간이 아니라 효율이 관건”이라는 주장을 펴 관심을 끈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이슈 브리프’를 통해 “경영환경의 변화, 기술의 발전 등으로 일하는 방식도 변하는 가운데, 최근에는 재택근무, 유연근무제의 확산과 함께 주 4일 근무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포스코경영연구원 전략컨설팅실의 조성일 수석연구원은 “주 4일 근무제의 성공요인은 시간 단축이 아닌 효율성 향상”이라며 특히 “제도 도입의 장애요인은 근로시간 단축이 생산성 하락으로 연결된다는 고정관념에서 비롯된다”고 밝혔다. 일단 조 수석연구원의 이같은 주장은 포스코경영연구원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계 일각에서 이처럼 주4일제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와 검토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조 수석연구원은 특히 “줄어든 시간 분량만큼 생산성을 높이는 것보다 현재 만연하고 있는 비효율을 줄이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다.

그에 따르면 산업계 일부에서 등장한 주4일 근무제는 아직은 초기 단계여서 탄력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주 40시간(주 5일)에서 주 32시간으로 바로 근무시간을 변경하기보단, 주 40시간을 유지하되 시간 배분을 통해 금요일 하루를 쉬는 방식으로 도입되고 있다.

이미 유럽 등에서 시행된 주 4일 근무제 관련 실험은 대체로 긍정적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2015년~2019년에 아이슬란드에서 진행된 주4일 근무제 실험은 임금 삭감 없는 주 4일 근무가 근로자의 복지와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그렇다.

또 2022년 영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도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미 국내에서도 이같은 해외 사례처럼 노동시간이 주4일제를 겨냥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추세다. 특히 올해 6월, 삼성전자가 전격적으로 주 4일 근무제를 선언하는 등 일부 대기업들이 이에 관심을 가지면서 흐름을 주도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유럽 등지의 사례에서 나타났듯이, 주 4일 근무제를 임금 삭감과 함께 도입하는 것은 바람직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이는 지난 2017년 KDI(한국개발연구원) 조사가 그 효과를 반영하고 있다. 당시 해당 조사에 의하면, 근로시간단축정책(주 40시간 근무제) 시행 이후, 10인 이상 제조업체의 노동생산성이 향상되고, 근로자 1인당 연간 실질 부가가치 산출이 1.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 5일 근무제 도입 당시에도 많은 우려가 있었으나, 결과적으로는 안정적으로 정착되었다”는 조 수석연구위원은 “많은 기업들이 근무시간 축소로 인한 손실을 업무 효율성으로 복구하기 위해 일하는 방식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두고 주 5일 근무제를 운영함으로써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결국 주 4일 근무제 성공여부는 ‘시간’이 아니라 ‘효율성’에 있다. 예를 들어 회의 시간이나 방식을 개선하는 등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기술 발전 덕택에 주4일제에 적합하면서도 한층 진일보한 근무 형태가 가능하다.

또한, "줄어든 시간의 분량만큼 생산성을 높이는 것보다 현재 만연하고 있는 비효율을 줄이는 것이 더 효과적이므로,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