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진·사주 의지 중요, “디지털화 목표지점도 명확히 해야”
망분리 등 금융보안 시스템, 전문인력, 개인정보보호 등도 중요

우리은행이 소상공인과 시니어를 위해 마련한 특화점포 모습. 본문 기사와 직접 관련은 없음.
우리은행이 소상공인과 시니어를 위해 마련한 특화점포 모습. 본문 기사와 직접 관련은 없음.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디지털금융을 말하긴 쉬워도, 정작 이를 구현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일이다. 디지털 전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영진의 각별한 문제의식과 비전, 금융보안 시그템 완비, 물리적 망분리, 개인정보 보호 등이 선제 조건이란 지적이다.

한국금융연구원 서병호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일부 금융회사들의 경우 뚜렷한 디지털 관련 비전의 부재, 특정 부서 의존, 혁신을 저해하는 조직문화, 내부 전문인력 부족, 경직적인 규제 등이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지적했다. 이런 점을 충족시켜야만 디지털 금융으로의 전환이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가 제시하는 몇 가지 조건은 금융 디지털화를 주장하는 많은 전문가들이 평소 의견을 같이해온 대목이어서 주목된다.

이에 따르면 우선 디지털금융을 추진하기 위해선 디지털 전환에 대한 경영진의 꾸준한 관심이 급선무다. 경영진의 성과평가 항목에 디지털 전환 관련 진척도를 포함하는 방안도 고려할 만하다.

그러나 디지털 전환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받는 국내 금융회사들은 CEO나 사주(社主)가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추진한 경우가 많다. 즉, “임기가 짧고 성과에 따른 보상을 염두에 둔 CEO보다는 창업주나 대주주, 사주의 각별한 의지가 더욱 힘을 발휘하기도 한다”는 입장이다.

디지털 전환의 방향에 대한 뚜렷한 비전도 무엇보다 중요하다. 예를 들어 온라인 채널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를 구현하기에 앞서 먼저 그 목표 지점을 설정하는게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즉 모든 금융회사의 상품을 취급하는 플랫폼을 추구할 것인지, 기존 고객들을 위한 자사 앱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초점을 맞출 것인지가 결정되어야 한다. 나아가선, “자사 앱의 한계를 인정하고 빅테크나, 핀테크, 비금융권 등의 플랫폼에 의지하면서 상품개발 및 임베디드 금융에 집중할 것인지” 등을 결정하는게 중요하다.

또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도록 디지털 관련 실적에 대해 중장기적 관점을 갖는 것도 중욯다”는 것이다. 디지털 부서의 경우 중장기적 변신을 추구하는 곳이다. 그러므로 단기 실적을 가지고 몰아세우면 우수한 인재나 전문인력을 구하기도 어렵다.

디진털금융의 실현을 위해선 또 금융보안 시스템의 선진화가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기존의 노후화된 IT 시스템을 저렴한 비용으로 현대화하는 방법으론, 전문업체에 의한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하는 방법이 많이 언급된다.

즉 모바일 중심으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소규모 금융회사의 경우 외부의 소스코드를 이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서 연구위원은 이를 위해 “물리적 망분리와 함께 개인정보보호 관련 규제의 유연화가 필요하다”면서 “만의 하나 대규모 금융사고가 다시 발생하면 규제장벽이 매우 높아질 것이므로 금융보안을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는 빅테크나 핀테크와의 위수탁 계약이 필수적인데, 제3자 리스크관리의 최종 책임은 위탁자인 금융회사에 있으므로 금융보안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선진화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