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선도기업 기술 우위보다 후행 기업 역동성 저하서 비롯
임금 격차로 나타나…“역동적 기업 생태계 조성 등 추진해야”

[중소기업투데이 정수남 기자] 최근 한계기업 구조조정 부진 등으로 기업 간 생산성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확인됐다. 기업 간 생산성 차이는 총생산성을 낮추고 임금 격차를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국은행은 ‘우리나라 기업 간 생산성 격차 확대 배경과 총생산성과 임금 격차에 대한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기업 간 생산성 격차 확대가 최근 선도기업 기술 우위보다 후행 기업 역동성 저하에 주로 기인한다고 8일 밝혔다.

최근 한계기업 구조조정 부진 등으로 기업 간 생산성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은 시화공단 전경
최근 한계기업 구조조정 부진 등으로 기업 간 생산성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은 시화공단 전경

보고서는 2015년 외부감사 대상 기업의 재무자료를 바탕으로 생산성 기준 상위 5% 기업(선도기업)과 나머지 여타그룹(후행기업)을 분류한 뒤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선도기업과 후행기업의 생산성 격차는 2000년대 이후 확대되고 있다. 2015년 기준 노동생산성으로 보면 선도기업은 근로자 1명이 창출하는 부가가치가 7010만원이었으나. 후행 기업은 780만원에 그쳤다.

명목임금은 선도기업이 2억4300만원으로 후행 기업 6600만원의 3.7배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이 같은 생산성 격차는 최근 후행 기업 생산성이 선도기업보다 더디게 개선된 데 따른 것이라고 풀이했다.

생산성 격차는 선도기업 기술이 빨리 발전하거나 후행 기업 기술 발달 속도가 떨어질 때 나타나는데 최근 들어 후자 영향이 더 크다. 이는 신규 기업 진입, 한계기업 구조조정 부진 등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졌는데도 연명하는 기업들이 늘며 시장 역동성, 전체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실제 업력이 10년 이상이면서 2년 연속 영업 적자를 낸 ‘한계 장년 기업’ 비중은 증가 추세이다.

규제가 완화된 운송·통신업 등에서 생산성 격차는 축소됐으나, 규제개혁이 미흡한 사업서비스·전기가스업의 경우 격차가 확대됐다.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에서 후행 기업의 생산성 부진이 두드러졌다. 2000∼2015년 제조업은 선도기업의 다요소생산성(자본, 노동 등 모든 생산요소를 고려한 생산성)이 연평균 5.4%, 후행 기업은 3.7%씩 증가했지만 서비스업은 선도기업이 5.1% 증가하는 동안 후행 기업은 2.4% 상승에 머물렀다.

기업 간 생산성 격차는 임금 격차 확대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 생산성 격차가 1%p(포인트) 상승하면 임금 격차는 0.797%p 상승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는 기업 간 기술전파와 효율적인 자원 재배분 촉진이 총생산성, 임금 불평등을 동시에 개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최창호 한은 차장은 “기존 사업 재편, 신규 사업 모델 창출 등 시장 효율성을 높이는 정책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경쟁 제한적 규제 완화, 부실기업 구조조정, 혁신·기술전파를 장려하는 역동적 기업생태계 조성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