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감축의무 없는 기업, 기관 등
자발적 배출량 감축·제거 프로젝트 실행
발행된 탄소상쇄권 거래시장 형성, “의무기업 대상 ‘규제시장’과 별개”

걸그룹 가수  '블랙핑크'의 탄소발자국 계산을 주제로 내세운 콘서트 화면. 본문과 직접 관련은 없음. [출처=내일의쓰임]
걸그룹 가수  '블랙핑크'의 탄소발자국 계산을 주제로 내세운 콘서트 화면. 본문과 직접 관련은 없음. [출처=내일의쓰임]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최근 국내에선 재생에너지 정책이 축소되고, 탄소저감에 대한 제도적 노력이 약화되는 추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른바 ‘자발적 탄소시장’이 나름대로 확대되고 있어 주목된다. 자발적 탄소시장은 감축의무가 없는 기업이나, 기관, 개인 등이 배출량을 감축·제거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발행된 탄소상쇄권을 거래하면서 시장이 형성된다.

KDB미래전략연구소 미래전략개발부 김상아 연구원은 이에 “자발적 탄소시장 규모는 배출량 감축노력이 확산되고, 규제시장이 한계를 보이는 가운데, 국내·외 기업 및 이니셔티브의 활동 강화 등으로 확대될 전망”이라고 했다.

즉, 자발적 탄소시장을 통해 배출량 감축이나 제거 프로젝트로의 결과로 발행된 탄소상쇄권을 자발적으로 거래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탄소시장은 크게 탄소배출량 감축 의무 유무에 따라 규제시장과, 자발적 탄소시장으로 크게 구분된다.

그 중 규제시장은 일반적으로 고탄소배출 산업에 속한 기업들에 대해 배출허용상한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에 근거하여 탄소배출권을 할당하며, 대상기업들은 탄소배출권 잉여분이나, 부족분을 거래한다.

국내의 경우 고탄소배출 산업은 전환, 산업, 수송, 건물, 폐기물, 공공‧기타부문 등이 지정돼 있다.

또 자발적 탄소시장에선 배출량 감축의무가 없는 기업, 기관, 개인 등도 탄소상쇄권을 거래함으로써 자체 배출량을 상쇄할 수 있다.

반면에 자발적 탄소시장에서는 자발적으로 배출량 감축·제거 프로젝트를 실행한 후 그 결과 발행된 탄소상쇄권을 거래한다. 주로 재생에너지 보급, 자연기반 솔루션, 폐기물 처리, 에너지 효율성 제고, 탄소포집·저장 등이다.

개별 탄소상쇄권 가격과 수량은 해당 프로젝트의 종류·규모, 배출량 감축·제거 실적 등에 따라 차등 결정된다.

자발적 탄소시장 규모는 국내·외 기업들과 글로벌 이니셔티브들이 최근 활동을 강화함으로써 확대될 전망이다.

탄소상쇄권 시장규모는 2016년 이래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으나, 2022년에는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애 가중되는 등의 이유로 전년대비 감소하는 추세다.

또 많은 국내·외 기업들도 자발적 탄소시장에 프로젝트 개발사, 구매자, 투자·중개사 등으로 참여하고 있다.

국내에선 롯데케미칼이 폐플라스틱 재활용 프로젝트를 진행, 탄소상쇄권을 발행하고 있다. 삼성증권 등 9개 증권사는 자발적 탄소배출권에 대한 자기매매 및 장외 거래 중개업무도 실시하고 있다.

해외의 경우 마이크로소프트는 탄소상쇄권 등을 통해 자사 배출량보다 많은 탄소를 제거하는 ‘탄소 네거티브’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애플은 스마트워치의 제조·판매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탄소상쇄권을 활용하고 있다.

앞으로도 이들 글로벌 기업들은 자발적인 배출량 감축목표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전망이며, 그런 움직임은 날로 확산되고 있다. 또 ‘규제시장’의 한계나, 글로벌 이니셔티브들의 활동 증가 등에 힘입어 시장규모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과학기반감축목표이니셔티브(SBTi)’ 등에서 탄소상쇄권 활용을 통한 넷제로 달성을 일부 인정함에 따라, 배출량 감축목표를 공표한 글로벌 대형상장사 1,300여개 중 약 35%는 탄소상쇄권 활용계획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SBTi는 과학적 시나리오에 기반해 배출량 감축목표를 설정하는 방안을 개발하고 감축목표를 인증하는 기구다. 탄소배출량의 5~10%에 대해서는 탄소상쇄권을 인정하고 있다.

KDB미래전략연구소 김상아 연구원은 “배출량 감축규제 대상기업들만이 참여 가능한 ‘규제시장’은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7.6%(89.1억t, 2023.11월 기준)만을 포괄하는 등 한계가 있다”면서 “이에 자발적 탄소시장 활성화를 기하기 위한, 다수 이니셔티브들이 설립돼 기준을 제정하는 등 표준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