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근로시간제도 개편 방안’ 등 힘입어 점진적 확산 기대도
‘워라벨’ 분위기 감안 '직장문화'로
“유연근무 실시 중소기업 등에 정책 지원 필요”

포스트코로나 이후 유연근무제가 감소하고 있으나, 시대추이에 따라 확산으로 갈 것이란 전망도 있다. 사진은 본문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포스트코로나 이후 유연근무제가 감소하고 있으나, 시대추이에 따라 확산으로 갈 것이란 전망도 있다. 사진은 본문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재택근무나 원격업무 등 팬데믹 기간의 유연근무제가 포스트 코로나 이후 점차 감소하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들은 서둘러 이를 축소 내지 폐지하는 분위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난 3월 정부의 ‘근로시간 제도 개편방안’에 맞춰 향후 다양한 형태의 유연근무제가 확산될 것이란 전망도 있어, 앞으로의 흐름이 주목된다.

최근 통계청에 의하면 국내 임금근로자의 유연근무제도 활용률은 지난 8월 기준으로 15.6% 수준에 달한다. KDB산업은행은 “팬데믹 종식 이후 재택·원격근무제 비중이 감소함에 따라 전년 동월대비 0.4%p 하락했다”면서 “유연근무제 중에서도 시차출퇴근제가 33%의 비율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유연근무제는 근로자의 필요 등에 따라 유연한 근무형태를 선택·활용하는 제도다. 우수인력이 회사를 그만두는 사태를 방지한다는 의미도 있다. 국내에서는 팬데믹 기간에 매우 활성화됐고, 근로기준법 개정도 이를 뒷받침했다. ‘코로나19’ 종식 선언 이후 상시 재택근무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최근 KDB미래전략연구소는 이에 관한 분석 리포트를 통해 “정부의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 등에 힘입어 유연근무제의 점진적인 확산을 기대한다”고 했다. 시대 추이를 볼 때 확산될 수 밖에 없을 것이란 기대 섞인 전망이기도 하다.

이에 따르면 애초 지난 2017년 ‘일과 생활의 양립’이란 차원에서 국내에 도입된 유연근무제는 팬데믹을 거치며, 대기업·공공기관 등을 중심으로 확산됐다. 그러나 최근에 와선 각자 환경이나 조건 등에 따라 선별적으로 도입하거나 축소 또는 폐지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최근 주 52시간 제도 시행과 함께 ‘워라벨’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강화 등에 따라 이젠 하나의 직장문화로 자리잡고 있는 실정이다. 고용노동부도 2017년부터 시차출퇴근제 등 유연근무제를 도입하는 중소기업에 대해 근로자 1인당 최대 연 52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물론 한계도 있다. 전통적인 업무처리 방식, 즉 제조업 등에선 이를 적용하는게 쉽지 않다. 중소 제조업체의 생산직이나, 교사 등이 그런 경우다. 특히 공정이 24시간 가동돼야 하는 생산현장에선 애초부터 도입조차 생각하지 않는다. 이에 “제도를 개선하고, 유연근무 도입률이 낮은 중소기업을 위한 정부 지원을 확대하는 등 ‘워라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KDB미래전략연구소의 김수연 연구원은 “전면 폐지보다는 사무실 출근일을 확대하는 등 단계적으로 감축하는 경향이 많다”면서 사례를 들었다. 실제로 카카오는 격주 ‘놀금제’를 폐지했지만, 야놀자는 상시 재택에서 주3회 출근으로 바꾸고, 엔씨소트프는 재택근무를 축소하기도 했다.

이에 김 연구원은 “상시 재택근무 감소에도 불구하고 유연근무에 대한 인식 개선과, 디지털 인프라 및 스마트 워크센터 확충 등을 감안해야 한다”면서 “정부의 ‘근로시간 제도 개편방안’ 방향에 맞춰 하이브리드 재택근무, 근로시간 선택권 확대, 집중근무를 통한 장기휴가 활성화 등 유연근무제의 점진적인 확산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키워드
#유연근무제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