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협력사 ‘대미 관세 전액 지원’...상생프로그램 2·3차 협력사로 확대
AI·로봇·수소에 50조… 미래 포트폴리오 대전환 미래 신사업 중심 투자 확대, 산업 패러다임 전환 전략 R&D·전동화·SDV 고도화… 차세대 기술 경쟁력 강화 하이브리드·EREV·배터리 내재화·SDV 전환 등 기술투자 확대 EV 전용공장·수소연료전지 공장 등 전국 생산거점 고도화
[중소기업투데이 황복희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2026년부터 2030년까지 향후 5년간 총 125조2000억 원을 국내에 투자한다. 이는 직전 5년 동안 투입했던 89조1000억 원을 크게 웃도는 규모로, 연평균 25조 원 이상을 집행하는 사상 최대 수준이다.
그룹은 이번 투자가 단순한 생산설비 확장을 넘어, 글로벌 산업구조가 AI와 로보틱스 중심으로 급변하는 상황에서 미래 경쟁력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체질 전환형 투자’라고 강조했다.
AI·로봇·수소 중심의 산업 전환...미래 포트폴리오에만 50조 원 이상 투입
현대차그룹은 전체 투자 가운데 50조5000억 원을 AI·SDV(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전동화·로보틱스·수소 사업 등 미래 신사업에 집중한다.
그룹은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고전력 기반의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추진하는 동시에, 로봇·자율주행 기술을 실증하고 산업현장 투입 전 안전성을 검증하는 ‘피지컬 AI 애플리케이션 센터’를 설립한다.
또한 고객 맞춤형 로봇 기술 개발과 제조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로봇 완성품 공장과 중소기업 제품까지 위탁 생산할 수 있는 로봇 파운드리 공장도 조성할 계획이다.
수소 분야에서도 대규모 투자가 이어진다. 그룹은 재생에너지 기반 수소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서남권 지역에 1GW급 PEM(고분자전해질막) 수전해 플랜트를 건설하고, 수전해기와 연료전지 부품을 생산하는 제조시설을 구축한다. 이 같은 투자로 국내 수소산업을 글로벌 수출형 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구상이다.
연구개발에 38조 원...하이브리드·EREV·차세대 배터리 등 라인업 다각화
R&D 투자 38조5000억 원은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신기술 개발에 투입된다.
그룹은 후륜 기반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900km 이상 주행이 가능한 EREV(장거리 주행 전동화) 등 차세대 파워트레인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배터리의 설계·개발·안전성 고도화를 통해 전기차의 내재화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2026년엔 중앙집중형 E/E 아키텍처를 적용한 SDV 테스트카를 공개해 양산차 적용을 본격 추진한다. 다양한 글로벌 시장 요구에 맞춘 지역별 특화 모델 연구도 계속된다.
생산라인 고도화·GBC 건설 등 경상투자 36조 원 규모...지역경제 효과도 기대
경상투자 36조2000억 원은 국내 생산시설 고도화, 제조기술 혁신, 고객 서비스 거점 확충 등에 배정된다.
울산 EV 전용공장은 내년 준공을 앞두고 있으며, 울산 수소연료전지 신공장과 경기도 화성 PBV(목적기반모빌리티) 전기차 공장 신설도 진행 중이다. 현대제철은 당진제철소에 LNG 자가발전소를 세우고 고로 효율화에 수천억 원을 투입한다. 서울 삼성동 GBC(글로벌비즈니스센터)는 인허가가 마무리되는 대로 본격 착공해 수도권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전망이다.
협력사 부담 덜기 위해 ‘대미 관세 전액 지원’...상생 프로그램도 2·3차 협력사로 확대
현대차그룹은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현대차·기아 1차 협력사가 올해 미국 생산법인에 부품을 공급하며 부담했던 관세를 전액 지원하기로 했다. 이는 협력사의 운영자금 확보와 유동성 개선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조치다.
또 5000여 개에 달하는 2·3차 협력사까지 포함해 스마트공장 전환·R&D·해외판로 개척 등 다양한 상생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할 방침이다. 그룹은 “협력사 경쟁력 강화가 곧 완성차 경쟁력의 기반”이라는 철학을 재확인하며, 중소 협력사와의 동반성장 전략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을 글로벌 모빌리티 허브로...전기차 수출 2030년 176만 대 목표
현대차그룹은 국내 공장을 미래차 생산의 마더팩토리로 전환해 글로벌 수출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완성차 수출은 지난해 218만 대에서 2030년 247만 대로 늘리고, 특히 전동화 차량 수출은 같은 기간 69만 대에서 176만 대로 2.5배 이상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수출지역 다변화와 전기차 전용 공장 확대, AI·로봇 기반의 스마트 제조혁신을 추진한다.
“자동차 회사를 넘어 AI·모빌리티 기술기업으로”...현대차의 ‘정체성 재정의’
현대차그룹의 이번 발표는 단순한 물적 투자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자동차 산업의 중심축이 AI·소프트웨어·에너지로 이동하는 시대 흐름 속에서, 그룹의 정체성을 전통적인 자동차 제조사에서 AI 기반 모빌리티 기술기업으로 전환하는 선언에 가깝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역대 최대 투자와 혁신으로 국가 경제 활력을 높이는 동시에 글로벌 모빌리티 산업에서 미래 경쟁력을 확고히 하겠다”며 “협력사와 함께하는 공급망 경쟁력 강화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