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코인의 글로벌 주도권 기회 놓쳐선 안돼”
디지털자산 세미나, 정부에 스테이블코인 등 관련 정책 제언 한국디지털자산 평가인증, 디지털자산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 제시
디지털자산 분야 각계 전문가들이 모여 정부를 상대로 스테이블 코인 등 관련 정책을 제언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디지털자산 평가인증(의장 박창범)은 지난 28일 오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디지털자산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발전 모델을 모색하기 위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200여명의 전문가들이 참석한 이날 세미나에서 주최측 대표인 하준 디지털자산평가인증 전문위원단장(전 농협은행 이사회 의장)은 “한국은 디지털자산 산업 규모면에서 미국, 중국, 유럽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음에도 제도적, 법적 미비로 인해 디지털자산 강국으로 도약하지 못한채 경쟁국 기업들이 10억 달러 가치의 유니콘, 100억 달러 가치의 데카콘으로 급성장하는 것을 부러워만 했다”면서, “이제라도 업계와 정부, 입법부가 디지털자산과 디지털금융의 글로벌 주도권 확보라는 공동의 목표를 갖고 움직인다면 대한민국은 디지털자산 허브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한국디지털자산 평가인증 박창범 의장은 “디지털자산은 미래 경제의 핵심 동력이 될 것이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업계와 정책당국의 협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김용진 서강대 경영학과 교수는 “1단계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정을 통한 ICO(가상자산공개)/STO(토큰증권)의 체계적 규제 확립, 2단계 디지털자산 시장 인프라 및 생태계 조성, 3단계 STO 시장 등 업계 활성화, 4단계 해외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서 국제 표준의 주도권을 한국이 가지는 4단계 접근론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날 세미나는 ▲대한민국 디지털자산의 미래(발표 김용진 교수) ▲스테이블코인의 현재와 미래(발표 이영하 전 감사원 국장) ▲토큰증권(STO)이 가져올 미래(발표 고진석 덴스페이스 대표) ▲글로벌 디지털자산의 현황(발표 스티브 김 바이낸스 이사) 등 4개 섹션으로 진행됐다.
이밖에 민주당 박찬대, 민병덕, 안도걸 의원 등이 축사를 보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