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나, 떨고있니?”...새 정부, “상생금융 점수 매기겠다”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통해 ‘상생금융지수’ 도입 방침 밝혀 내년 상반기에 中企대출 상위 은행부터 시작, 단계적 확대 시중은행들, 중소기업 대상 특화금융 방안 마련 '분주'
[중소기업투데이 황복희 기자] 새 정부가 취약계층 등을 대상으로 한 금융의 사회적역할을 확대하는 의미의 포용·상생금융을 점수로 평가하겠다고 나서자, 금융권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2일 발표한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에서 현행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동반성장지수를 금융 분야까지 확장한 중소기업 상생금융지수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매년 발표하는 동반성장지수 평가대상은 2025년 기준 250개 대·중견기업과 134개 공공기관이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에 기업·국민·하나·신한·우리·농협은행 등 중소기업 대출 규모 상위 은행부터 시작해 평가대상 은행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금융위원회와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금융지수 도입에 대해 대략적인 합의를 마친 상태이며, 세부적 실행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여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은 지난달말 ‘진짜 대한민국을 위한 금융의 역할’ 보고서에서 상생지수 도입 필요성을 강조하며 상생지수가 높은 민간은행에 정부·지방자치단체 주거래은행 선정시 가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역시 취임 일성으로 상생지수 도입을 언급했다.
이 원장은 지난 14일 취임식에서 “모험자본 공급펀드, 중소기업 상생지수 등을 도입해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하겠다”며 “자본시장의 자금 공급 기능을 강화해 기업이 성장 자금을 시장에서 원활히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새 정부 인수위 역할을 한 국정기획위원회는 포용금융 확대 방안의 하나로 서민금융안정기금을 제시했다.
정부와 금융권이 함께 기금을 조성해 정책서민금융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구상으로, 현재 금융위가 검토 중이다. 기금이 조성될 경우 서민금융진흥원이 운용을 맡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새정부의 이같은 포용금융 강화 방침에 발맞춰 주요 시중은행들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특화금융 방안 마련에 분주한 모습을 띠고 있다.
대표적으로 국민은행은 27일 ‘중소기업의 성장을 함께 한다’는 취지를 담은 ‘KB 중소기업 동반성장 프로젝트’를 통해, 중소기업에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생산적 금융 확대에 나설 방침임을 밝혔다.
‘KB 중소기업 동반성장 프로젝트’는 ▲KB중소기업 맞춤형 특화상품 리뉴얼 및 금리우대 지원 ▲국가 주력산업 금융지원을 위한 특별 출연 및 전용보증서 발급 ▲신산업 자금 지원과 새로운 성장엔진 발굴을 위한 기술금융 우대 등 총 3개 부문에 걸쳐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