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소재 자립 민관협력 '씽크탱크' 출범

‘소재전문연구회’ 출범,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수소 등 망라 연구·개발 전략 도출, 로드맵 수립, R&D난제 발굴, ‘걸림돌’ 제거

2022-08-01     조민혁 기자
각종 소재와 공구, 공작기계 등이 출품된 '2019 공구대전' 참가 기업 부스.

[중소기업투데이 조민혁 기자] 소재 자립이 국가적 과제로 등장한 가운데, 정부가 이른바 ‘소재전문연구회’(이하 전문연구회)를 출범시켜 눈길을 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전문연구회는 “초격차 전략기술 확보, 디지털 혁신 등 국가의 당면문제 해결을 뒷받침하는 미래첨단소재를 발굴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전문연구회는 ▲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소재를 연구·개발하는 전략을 도출하고 ▲공급망 위기와 같은 당면이슈에 대응하며 ▲전략기술을 뒷받침하는 소재 자립의 걸림돌을 발굴해 ▲관련 연구개발 로드맵을 수립한다는 취지다.  “민간중심, 수요기반 연구개발 체계 구축을 위해 국가전략기술 분야별 시스템 및 소재분야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됐다”는 과기정통부의 설명이다.

전문연구회는 또 국가전략기술 분야별로 나눈 25개 연구회로 운영된다. 이를 위해 “전문연구회, 조정위원회 및 총괄조정위원회를 포함하여 약 330명의 산·학·연 소재 전문가들이 활동할 예정”이다. 전문연구회에 포함된 국가전략기술 분야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차세대 원전 ▲수소 ▲5·6세대(5G·6G) ▲바이오 ▲우주·항공 ▲양자 ▲인공지능·로봇,모빌리티 ▲융합 등이다.

과기정통부는 전문연구회에 대해 특히 “소재 수요기업(시스템 기업), 소재 공급기업 등 기업 참여를 확대해 민간 주도의 기술혁신 거점으로 기능할 것”이라며 “또한 국가전략기술에 집중해 이들 전략기술 확보를 뒷받침하기 위한 소재 난제기술을 발굴하고, 이들 난제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등 보다 임무지향적인 소재연구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으로 전문연구회가 중심이 되어 기술패권경쟁의 핵심이 되는 미래소재 연구개발 전략을 도출한다는 얘기다. 또 일본의 수출규제나 국제적인 공급난 등과 같은 소재 공급망 위기와 같은 이슈에 대응하며, 국가전략기술별로 기술개발 로드맵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지난 29일 소재 공급기업-수요기업 등 민간의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임무지향적인 소재연구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전략기술분야별 ‘소재전문연구회’ 출범식 및 간담회를 개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