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공장 국내이전 최대 기피이유, '현지의 낮은 생산비용'
지난 3~4월 코로나 정점 대비 '경영상황 악화되거나 나아지지않아'
中企 현 시점 가장 큰 애로 '자금난', '포스트코로나 대비 못해'

[중소기업투데이 황복희 기자] 제조업은 코로나19가 정점을 찍은 3~4월 보다 현 시점에서 경영상황이 더 어렵거나 그때 보다 별반 나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나 중소기업은 현 상황에서 ‘자금난’을 가장 큰 애로로 호소했으며 이에 포스트코로나 대비는 대부분 꿈도 꾸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해외공장이 있는 제조기업은 현지의 낮은 생산비용을 이유로 국내 복귀를 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제조업체 308곳을 대상으로 ‘포스트코로나 기업 대응현황과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기업의 45.2%는 지난 3~4월 대비 경영이 악화됐고 46.3%는 비슷하다고 응답했다. 개선됐다는 응답은 8.5%에 불과했다.

특히 자동차, 철강, 조선 업종 순으로 악화됐다는 응답이 많았고 제약, 기계 업종은 상대적으로 업황이 크게 나빠지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제조업이 겪고있는 가장 큰 어려움으론 역시나 꽉막힌 ‘수출’(29.2%)을 꼽았다. 이어 ‘자금난’(27.3%), ‘내수판매’(24.0%), ‘조달・생산’(8.8%), ‘고용유지’(8.8%) 순으로 응답했다.

기업 규모와 업종별로 애로유형에 다소 차이를 보였는데 대기업은 ‘수출애로’(40.4%), 중소기업은 ‘자금난’(31.8%)을 최대 애로로 각각 들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조선은 ‘자금난’, 반도체・전자・기계는 ‘수출’, 철강・제약・식품은 ‘국내판매’를 현 시점에서 가장 큰 애로로 지적했다.

아울러 조사대상 제조업 10곳 중 8곳은 올해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년대비 증가할 것이란 응답은 10.1%에 불과했고 나머지 9.4%는 비슷할 것으로 내다봤다. 매출 감소폭 또한 20% 이상 될 것이라는 응답이 40%를 넘었다. 이어 30.2%는 전년대비 10~20% 매출감소를 예상됐다.

이런 상황에서 제조업은 코로나19 이후 경영전략 또한 제대로 대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9.5%가 포스트코로나 경영전략 변화에 대해 ‘계획없다’고 응답했다. 변화를 ‘추진 중’이라는 기업은 14.6%에 불과했고 나머지 15.9%는 ‘계획중’이라고 답했다.

그나마 대기업은 45.8%가 경영전략 변화를 준비하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은 그 절반에 불과한 23.8%만이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영전략 변화를 모색하는 중점 분야로는 ‘수요처 다변화’(31.9%), ‘경영효율화’(29.8%), ‘사업재편’(15.9%), ‘국내외 조달처 다변화’(12.8%) 순이었다. 업종별로 보면 자동차・제약은 '수요처 다변화'에, 반도체・기계는 '경영효율화'에, 조선은 '사업재편'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공장을 가진 기업을 대상으로 국내복귀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94.4%가 ‘계획 없다’고 답했다. 5.6%만이 ‘계획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국내이전을 기피하는 이유로는 ‘해외사업장의 낮은 생산비용’(58.3%), ‘현지시장 진출’(38.1%)을 들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제조업의 디지털경제 전환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업 3곳 중 2곳은 디지털전환을 추진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66.9%가 디지털전환을 고려하고 있는 반면 33.1%는 ‘고려안한다’고 답했다. 디지털전환시 우선 추진 부문은 ‘생산단계’(57.8%), ‘유통단계’(15.5%), ‘마케팅’(14.5%), ‘조달’(10.7%), ‘A/S’(1.5%) 순으로 꼽았다.

코로나19 이후 우리 제조업의 근원적 경쟁력은 어떻게 변화할까?  59.4%는 ‘세계적으로 같이 어려워 영향 없을 것’으로 보았으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응답도 40.6%나 됐다. 나아가 22.1%는 ‘경쟁력 약화’를 우려했고 18.5%만이 ‘기회요인’으로 보았다.

자동차, 기계, 철강 등 전통산업은 ‘경쟁력 약화 우려‘가 크다고 보는 반면에 제약, 식품 등은 ‘기회요인' 기대가 크다’고 답해 업종별로 명암이 갈렸다.

포스트코로나 중점 정책과제로는 가장 많은 42.9%가 ‘내수활성화’를 희망했다. 이어 ‘수출지원’(26.6%), ‘규제완화’(19.8%), ‘R&D지원 확대’(5.8%) 순으로 조사됐다.

최성호 경기대 교수는 “우리 기업들이 매출 위축과 자금난 등 당면 경영애로를 극복하는 한편 세계경제의 장기 구조변화에 대응해 ‘코로나 기회’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면서 “사업구조 효율화와 디지털전환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가치사슬의 재편에 주목한다면 새로운 기회의 창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대한상의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