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너지공사 ‘중계-신내’ 구간 시범구축
5개월간 시범운영 거쳐 내년에 확대 계획

분포형 계측선을 열 수송관 아래에 설치하는 모습. 아래 보이는 두 관이 열 수송관이며 하나는 공급관 하나는 회수관이다. [서울기술연구원]
분포형 계측선을 열 수송관 아래에 설치하는 모습. 아래 보이는 두 관이 열 수송관이며 하나는 공급관 하나는 회수관이다. [서울기술연구원]

[중소기업투데이 박진형 기자] 지난해 고양시, 목동 등지에서 발생한 노후 열 수송관 파열사고로 많은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서울기술연구원이 IoT 기술을 접목한 열수송관 파열사고 예방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열 수송관 뿐 아니라 다른 지하관로의 안전관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서울연구원은 지난달 말 서울에너지공사 ‘중계-신내지구’ 신설 열수송관(80m)에 시범 구축을 마무리했다. 앞으로 5개월간 시범 운영을 통해 실증 작업실시하고 내년엔 서울에너지공사가 신설하는 열 수송관 구간으로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서울기술연구원의 ‘첨단 IoT 기술 기반 열수송관 유지관리 기술’은 손상 지점을 실시간 파악하고 이 정보를 무선 통신망으로 유지관리자에게 바로 전송하도록 개발됐다. 기존 기술의 인적‧기술적 한계를 보완, 열수송관의 관리와 열수송관 파열 예방 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열수송관 전체를 최소 10㎝ 간격으로 촘촘하게 감지하는 분포형 계측선을 설치했다.

시범 적용된 기술은 ▲‘분포형 계측선’ 센서로 사고지점 측정 ▲측정 정보 실시간 변환 ▲무선 통신망 활용 ‘모니터링 시스템’ 등으로 구성됐다.

분포형 계측선을 열수송관 위에 설치하는 모습. 모래를 되메운 후에 계측선을 설치하고 있다. [서울기술연구원]
분포형 계측선을 열수송관 위에 설치하는 모습. 모래를 되메운 후에 계측선을 설치하고 있다. [서울기술연구원]

기존 열수송관 유지관리는 작업자가 지상에서 GPR(지표투과레이더), 열화상카메라 등을 이용해 일일이 점검하는 방식이다. 열수송관 전체를 모두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정확도도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고양시‧목동에서 발생한 사고 역시 노후 열수송관에 대한 선제적 관리가 이뤄지지 않은 것이 주원인으로 지적됐다.

연구책임자인 박민철 서울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열수송관 뿐만 아니라 지하관로를 선제적으로 유지관리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앞으로도 시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우수 기술의 개발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