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퍼시픽호텔, 지속가능한 제주 위한 전환점 모색

올해 첫 '농정틀 전환을 위한 전국 순회 100인 원탁회의'가 30일 제주에서 열렸다.
올해 첫 '농정틀 전환을 위한 전국 순회 100인 원탁회의'가 30일 제주에서 열렸다.

[중소기업투데이 황무선 기자] 올해 첫 ‘농정틀 전환을 위한 전국 순회 100인 원탁회의’가 제주에서 열렸다. ‘제주도민 모두가 행복한 농업정책’을 모색하는 대토론의 장이 펼쳐졌다.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 특별위원회(이하 농특위, 위원장 박진도)와 제주특별자치도(이하 제주도, 도지사 원희룡)가 공동으로 30일 제주 퍼시픽호텔 펄홀에서 ‘농정틀 전환을 위한 2019 전국 순회 100인 원탁회의 제주’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농특위 박진도 위원장, 제주도 원희룡 도지사, 제주농업인단체협의회 강수길 회장을 비롯해 농업관련 생산자, 소비자, 전문가, 시민단체, 농협, 공무원 등 각계각층의 도민 107명이 참여했다.

원형테이블에 모여 앉은 도민들은 3시간에 걸쳐 설문조사 공유, 원탁회의, 농특위 위원장과의 정책대화, 활동느낌 나누기 등의 순서를 진행하며 제주지역 농업의 문제점을 공감하고 지속가능한 농업과 농촌을 위한 농정방향에 대해 지혜를 모았다.

참석자들은 설문조사의 결과를 공유하며 농정에 대한 서로의 생각을 나눴다.

이어진 두개 세션은 퍼실리테이션 형식으로 ‘농정틀을 전환 해야하는 이유’와 ‘농정틀 전환을 위한 핵심과제’에 대해 테이블별로 토론하고, 우선과제를 도출했다.

또 얻어진 우선 과제를 중심으로 농특위 박진도 위원장과의 정책대화(타운홀미팅)가 진행됐다. 도민들은 농업, 농촌, 농민 정책은 물론 먹거리 부문에 이르는 다양한 질문을 쏟아 냈고, 박 위원장은 격의 없는 모습으로 성실히 답변하며 박수갈채를 받았다.

마지막으로 참석자들이 이날 원탁회의에 대한 느낌을 나누며 제주도민이 모두 행복한 농정틀 전환을 위해 함께 노력할 것을 다짐하며 행사를 마쳤다.

올해 첫 ‘100인 원탁회의 제주’는 시종일관 상호 존중하는 태도와 열린 자세로 토론과 정책대화가 이어지면서 수준 높은 논의가 펼쳐졌다.

박진도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농어업·농어촌의 문제는 농어민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민 모두의 문제이고, 농어민이 행복해야 국민이 행복하다”며 “지속가능한 농어업·농어촌을 위해서는 본래 가지고 있는 다원적 기능과 공익적 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농정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희룡 도지사도 “제주도는 전국 최초로 휴경보상금을 지급하고 수평적 소통을 통해 정책을 만드는 등 가장 진일보한 혁신농정에 매진하고 있다”며 “오늘 행사를 통해 제주도민들이 제주만의 특성에 맞는 농업정책을 직접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를 통해 제주도의 농정이 진일보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농특위와 전국 9개 도(道)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2019 전국 순회 타운홀 미팅’은 농어업·농어촌 문제에 대한 국민적 공감과 소통을 통해 구조적 문제점을 도출하고 지속가능한 농어업·농어촌을 위한 정책 방향을 국민들이 제안함으로써 농정틀 전환을 위한 전략적 기초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농특위는 이날 제주를 시작으로 11월 1일 전북, 4일 경북, 13일 경기, 15일 충남, 20일 전남, 28일 강원, 29일 충북 등 전국을 순회하며 지역별로 100명 규모의 원탁토론회와 타운홀미팅을 이어갈 예정이다.

한편, 박진도 위원장은 행사에 앞서 오전 11시 제주도청 브리핑 룸에서 제주지역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농특위의 출범 배경과 활동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최근의 주요 농정 이슈와 관련한 질의와 답변의 시간을 가졌다.

박 위원장은 “ ‘농정틀 전환’을 사명으로 농특위가 발족한지 6개월을 맞아 국민과 공감하고 소통하기 위해 전국순회 타운홀미팅과 원탁회의를 개최하게 됐다”며 “국민 모두를 위한 행복농정으로 바꿔 나갈 수 있도록 농특위의 다양한 활동에 대해 관심과 성원을 보내 달라”고 당부했다.

또 “최근 유럽지역 출장을 통해서 이제는 우리나라도 개도국 농정에서 선진국 농정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것을 절실히 느꼈다”며 “농어업·농어촌의 다원적 기능과 공익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공익기여지불’이 장기적으로 유럽연합 국가들처럼 농정예산의 최소 50%이상이 되도록 정책을 설계하려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