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연구원, 3일 '디지털 혁신을 통한 중소기업 재도약' 연구 발표
박재성 최종민, "중소기업, 경영 전반 디지털화 필수" "독일 참고해야" 주장

[중소기업투데이 이화순 기자] "국내 중소기업의 빅데이터나 전자상거래, 고객관계관리(CRM) 이용 수준은 OECD 주요국 중 최하위 수준이다. 독일 사례를 통해 중소기업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뼈아픈 지적이 나왔다.

중소기업연구원은 3일 '디지털 혁신을 통한 중소기업 재도약'에 관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이 같은 주장을 펼쳤다.

중기연구원의 박재성 연구위원과 최종민 부연구위원은" 경제 발전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디지털화'를 경영 전반에 적용해야 한다. 스마트공장에 국한해서는 안되며, 산업별 디지털화를 지표화해 체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놓았다. 디지털화는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운영 방식과 서비스 등을 혁신하는 것을 말한다.

이날 발표에서 박 연구위원과 최 부연구위원은 "'디지털화'의 개념이 센서와 사물인터넷을 결합한 '스마트공장'에 국한되지 않고, 생산·마케팅·재무·인력관리 등 경영 전반을 아우른다"고 설명했다. 또 "이는 중소기업의 일하는 방식, 대응하는 방식, 사업하는 방식의 혁신"이라며 "이를 통해 중소기업이 경제 및 산업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실질적 역량을 구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혁신성장과 디지털화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 중소기업은 혁신 역량이 부족해 대·중소기업 간 생산성 격차도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독일은 2000년대 중반부터 체계적으로 디지털화를 추진했으며, '인더스트리 4.0'을 보완해 '디지털 어젠다 2014~2017', '디지털 전략 2025'를 통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주도하고 있다.  

이들은 독일 중소기업의 디지털화의 특징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디지털화 달성 수준을 평가·관리하는 '지수화'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해 산업 변화의 애로를 해결·설계하는 '조직화' ▲산업 분야별 디지털화 확산을 촉진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표준화' 등을 꼽았다.  

또 "독일의 사례를 통해 중소기업 혁신성장의 촉매로서 국가적 과제로 디지털화를 인식해야 한다"며 "각 분야 디지털화를 점수·지수화해 정책지표로 관리하며 디지털화를 체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별 혁신역량센터를 통한 디지털화의 확산과, 표준화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환경의 필요성도 피력했다. 

박재성 연구위원은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는 구호나 의지만으로 달성될 수 없다"며 "시급한 것은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을 강화해 대기업에 버금갈 만한 혁신성과 생산성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연구위원은 이어 "디지털화를 통한 중소기업 혁신은 대기업의 하청 생산업체로서 발전해 온 중소기업의 위상을 혁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중소기업은 디지털화를 통해 산업화 시대 하청 생산에서 디지털 시대 특화된 서비스 제공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중소기업을 지역 랜드마크로 육성하고, 향후 2~3년 내 가시적 변화가 가능하도록 디지털화의 지원체계를 수립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산업 내 디지털 인프라 형성을 위한 디지털화 신규 기금의 설치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