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3일까지 국제갤러리서 'Min Joung-Ki' 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4월 27일 오후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민정기 화백의 '북한산' 앞에서 기념촬영을 했다.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4월 27일 오후 판문점 평화의 집에 설치된 '북한산' 그림 앞에서 기념촬영을 했다. [청와대]
민정기 화백의 '묵안리 장수대'

 

[중소기업투데이 이화순 기자] 지난해 남북정상회담장에 걸렸던 '북한산'의 작가 민정기 화백이 신작 풍경화들을 내놓았다. 

서울 삼청로 국제갤러리 2,3관에서 진행하는 'Min Joung-Ki' 전이 그 자리. 40여년 이상을 '풍경'을 소재로 한 다양한 관점들을 다뤄 온 작가의 예술 여정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구작 21점과 신작 14점을 걸었다. 

그의 풍경화는 단순한 풍경화가 아니다.  그 속에는 지형과 역사, 인문학이 녹아있고, 그 장소만의 독자적인 측면이 부각되어 있다. 산세, 물세 같은 지형적 요소와 그 안에 어우러진 인간의 흔적을 중점적으로 스타일을 구축해왔다. 

그의 풍경 속에는 과거 역사와 현재의 지리를 포함해 직접 인연을 맺는 필연적인 요소들이 수수께끼처럼 연결돼있다.  또 한 그림 속에 고정된 하나의 관점 대신 어려개의 다양한 관점이 있고, 다양하게 해석되는 것이 이전 그림과의 차이라면 차이다. 자연에서 도시로 관심을 옮긴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민정기 화백 [이화순]
민정기 화백 [이화순]

 

민정기 화백의 '청풍계'
민정기 화백의 '청풍계'

 

국제갤러리에서는 종로구에 위치한 청계천, 사직단, 세검정, 백사실계곡 등의 장소가 화폭에 담긴 것을 볼 수 있다. 

'유 몽유도원'(2016)은 조선 초기 안견의 몽유도원도 이미지 위에 현재의 부암동 풍경을 병치시켜 부암동의 옛 지세와 변모된 현실 풍경을 대비해 보여준다. 

'수입리(양평)'(2016)은 동양화에서 흔히 볼 수 있던 전통적인 부감법과 투시도법을 재해석해 산과 강의 현재적 상황을 민화적으로 풀어낸다. 

민정기 화백의 '수입리(양평)'
민정기 화백의 '수입리(양평)'

다양한 시점과 시간이 공존하는 공시성(synchronicity), 녹색 계열 또는 황색 계열의 통일된 색감으로 2차원적 화면의 평면성을 부각시키는 듯하다. 

신작 '청풍계 1~2'(2019)는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순종의 황후였던 순정효 황후(純貞孝皇后)의 삼촌 윤덕영이 일제 강점기에 인왕산 자락에 지은 600평 규모의 프랑스식 건물을 예전의 지형을 바꾸고 가파르게 들어선 다세대 주택들과 병치해 보여준다. 

그러나 친일반민족행위자였던 윤덕영은 그 집에 입주도 못한 채 운명했다. 그후 건물은 화재로 소실되어 1970년대 철거되었다.  작가는 이와 관련된 사료 연구와 답사를 통해 장소에 내재된 시간성을 복구, 두 가지 다른 각도에서 본 화면들로 재구성했다.

이러한 화법과 화면 구성에 대해 민정기 작가는 "예전 것들을 통해서 오늘날의 모습을 그린다"고 말한다. 또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장의 깊이와 역사, 인물 깊이와 예전에 좋았던 풍경을 종합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는 미술 내용을 그리고 싶다"면서 "나이도 됐고 앞으로 가야할 길도 아는 만큼, 그림의 주제나 소재를 간직하고 앞으로 더 진화시켜 가려한다.  또 우리가 사는 우리 땅의 모습을 더 풍부하게 더 시각적으로 드러내려 한다"고 말했다. 

그간 민중미술 작가군으로 분류되어온 그는 "상업화랑 전시 요청이라고  마다하고 그럴 처지는 아니다. 겪어보고 대처해보고 열심히 준비해서 관객들을 만나는 것이 좋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작가는 1980년대 '현실과 발언 동인전' 등의 단체전 활동을 이어왔다.  1983년 서울미술관에서의 첫개인전을 시작으로 문예진흥원 마로니에 미술관(2004), 조선일보미술관(2007), 금호미술관(2016) 등 국내 주요 기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했다. 2006년에 제18회 이중섭 미술상을 수상했다. 전시는 3월 3일까지.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