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섭 가족기업학회장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교수

윤병섭 가족기업학회 부회장<br>
윤병섭 가족기업학회장

이 시리즈를 쓰는 목적은 소상공인이 지니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힘을 보태기 위함이다. 일본 3대 상인은 오미(近江) 상인, 이세(伊勢) 상인, 오사카(大阪) 상인이며 그 중 오미(近江) 상인을 다뤘다. 오미 상인은 1600년대 초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가 에도(江戶, 지금의 도쿄)를 본거지로 쇼군(將軍)의 통치 기구인 막부(幕府)와 다이묘(大名)의 영지인 번을 합쳐 부른 무사계급 지배기구인 막번체제(幕藩體制)를 창설한 이후부터 활약했다. 황실 중심의 왕정복고를 통한 중앙 통일 권력의 확립에 이르는 광범위한 변혁 과정을 총칭하는 메이지유신(明治維新) 시대에 접어들 때까지 260여 년 동안 흔들림 없이 상업에 몰두했다. 현재의 시가현(滋賀県), 즉 오미를 근거지로 도쿄(東京), 교토(京都), 오사카(大阪), 홋카이도(北海道) 등 일본 각지에 마포, 모기장, 칠기, 삼베, 포목, 무명 등 지역 특산품을 행상으로 판매하면서 수 대에 걸쳐 전통을 만들고, 잇고 정신을 꾸준히 계승하는 공을 들여 상도(商道)를 확립했다. 우리나라 소상공인이 일본 오미 상인으로부터 시사점과 지혜를 얻어 소상공인의 꿈을 펼치는 기회가 되길 소망한다. 

오
'오미 상인'을 배출한 일본 오미지역 구글지도

교토(京都) 동쪽으로 맞붙은 간사이(関西) 또는 긴키(近畿) 지방의 내륙, 시가현(滋賀県)의 일본 최대 담수호 비와코(琵琶湖)에 위치한 오미 하치만(近江八幡), 고가쇼(五個莊), 히노(日野), 히코네(彦根), 다카시마(高島) 마을 등 호동(湖東) 5개 지역을 오미(近江) 지역으로 통칭한다.

오미(近江)는 1000년 이상 일본의 수도였던 교토와 인접해 전국의 물산이 모이는 내륙 교역 중심지다. 넓은 호수 비와코는 교토, 오사카(大阪)에서 간토(関東) 지방으로 나가는 수상교통의 요지다. 오미 지역은 물산(物産)이 모였다가 흩어지는 상업 요충지로서 오미 상인의 발원지 요건을 갖췄다.

오미 상인의 기원은 미나모토 요리토모(源賴朝)가 1192년 창설한 일본 최초 가마쿠라 막부(鎌倉幕府), 일본 중세 난보쿠초(南北朝)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막부와 무사 신분의 지방 행정관인 슈고(守護)와 지방 영주인 다이묘(大名), 즉 슈고 다이묘가 상공업자 조합인 ‘자(座)’에 시장독점권을 인정하고, 그 대가로 세금을 거뒀다. 그러나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가 ‘자(座)’를 해산하는 등 유통에 방해가 되던 기존 특권 보유 상공업자를 배제하고 걸림돌을 제거해 자유거래시장을 만들었다. 전국시대 말기 오미를 다스렸던 노부나가가 아즈치성(安土城) 내 도로에 통행세 징수 관문을 철폐하고 상공업자에게 자유 영업 허가서를 발급하는 등 누구라도 자유롭게 시장에 신규 참여해 장사할 수 있게 했다. 사농공상의 천박한 계급으로 취급받던 상인에게 라쿠이치 라쿠자(楽市楽座) 제도를 폐지하는 혁신 상업 진흥책을 시행해 경제활성화를 이뤘고 상업 발전의 기회를 조성했다. 라쿠이치 라쿠자(楽市楽座)의 ‘이치(市)’는 물자의 교환 혹은 매매가 행해지는 장소이며, ‘자(座)’는 상공업자 조합을 말한다.

라쿠이치 라쿠자 제도의 폐지는 ‘이치(市)’나 ‘자(座)’를 인정해 주거나 통행세를 징수하면서 수입을 얻고 있던 다이묘(大名)를 비롯해 사찰, 공가(公家)에 경제적 타격을 줬고 이는 기존 지배질서를 붕괴시키는 시발점이 됐다.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도 노부나가 경제정책을 계승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가 에도(江戶, 지금의 도쿄)를 본거지로 쇼군(將軍)의 통치 기구인 막부(幕府)와 다이묘(大名)의 영지인 번을 합쳐 부른 무사 계급 지배 기구인 막번체제(幕藩體制)를 창설한 1600년대 초부터 황실 중심의 왕정복고를 통한 중앙 통일 권력의 확립에 이르는 광범위한 변혁 과정을 총칭하는 메이지유신(明治維新) 시대에 접어들 때까지 260여 년 동안 현재의 시가현(滋賀県), 즉 오미를 근거지로 수 대에 걸쳐 전통을 만들고, 잇고 정신을 꾸준히 계승하는 공을 들여 상도(商道)를 확립했다.

에도 시대 중기에 상업으로 힘을 얻은 오미 지역을 막부가 직할령으로 다스렸다. 막부 직할에 놓인 상인들이 각 번(藩) 또는 막부의 어용상인(御用商人)으로 전국을 누비며 행상으로 크게 활약할 때 아오이(葵)(접시꽃) 무늬가 들어간 통행증으로 관문을 우선 통행했다. 오미 상인은 지역별로 활약했던 시기와 취급 상품 등 그 특성이 달라 출신지별로 다카시마 상인(高島商人), 하치만 상인(八幡商人), 히노 상인(日野商人), 고가쇼 상인(五個莊商人)으로 구분하고 있다.

시가현 오미 하치만시에서 에도 말기부터 메이지유신 시대에 걸쳐 건축된 오미 상인의 흔적을 볼 수 있다. 긴 세월에 적갈색으로 변한 니시가와(西川), 나카이(中井), 오노(小野) 등 옛 오미 거상들의 본점 2층 목조저택이 줄지어 서 있고 당시에 사용했던 각종 장부를 비롯해 필기도구와 주판, 그리고 사소한 일상용구 등이 정갈하게 정돈돼 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