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Lㆍ BYD 등 中 기업들, 세계1위 국내3사 글로벌 시장 점유율 갉아먹어
전고체 등으로 품질ㆍ성능 높이고, 소부장 기술 향상 필요, “정책 지원도 절실”

이차전지 제조를 위한 배터리 관리시스템. (사진=LG엔솔)
이차전지 제조를 위한 배터리 관리시스템. [LG엔솔]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이차전지를 두고 글로벌 기업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는 반도체에 이어 차세대 국가 산업 경쟁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배터리 시장 점유율 세계 1위인 한국기업들과, 그 뒤를 바짝 뒤쫓고 있는 중국과 미국 등의 글로벌 기업들은 차별화된 ‘초격차’ 기술을 구현, 경쟁자들을 따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가장 우리 기업들을 위협하는 CATL 등 중국기업과의 한판 승부가 관건이다. 이들은 이미 우리 기업들의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갉아먹으며 맹추격을 벌이고 있다.

본래 이차전지는 폐배터리 혹은 방전 후 재충전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전지다. 한 번 쓰고 버리는 일차전지보다 한결 유용하고, 친환경적이다. 현재 글로벌 기업들은 기존 액체 전해액 대신에 안전성과 효율이 더 뛰어난 전고체 배터리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렇게 되면 리튬․나트륨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훨씬 높일 수 있고, 전해액 때문에 충전을 할 수 없어 그냥 내다버렸던 일차전지, 즉 알카라인 전지도 이차전지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엔 이런 전고체 배터리에 해당하는 리튬폴리머 배터리가 등장하기도 해서,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이런 기술적 배경을 토대로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3사는 해외 글로벌 이차전지 업체들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국내 3사는 일단 완성품 제조 분야에 우수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또 이를 뒷받침하는 소·부·장 분야는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등 중소·중견기업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기업들과 경쟁하는 해외 사례를 보면, 결코 상황이 녹록하지 않다. 특히 중국의 기업들은 제품경쟁력 확보를 위해 완성차 업체와 합작사를 설립하거나, 주요 소재 기업에 투자하는 등 다양한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KDB미래전략연구소는 이에 대해 “완성차 업계의 요구사항인 차종별 성능에 맞는 플랫폼 구축을 위해 이차전지 제조사는 제품개발 초기부터 완성차 업계와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맺고 있다”면서 “특히 선제적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글로벌 이차전지 완성품이나 소재 업체들은 전지 성능을 좌우하고, 원가 비중이 높은 이차전지 4대 소재 분야 기술경쟁력을 높이는데 집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대표적으로 중국의 CATL, BYD 등이 있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 BYD 등 6개사가 지난 2022년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CATL, BYD 외에도 CALB, ‘Guoxuan’ 등 중국의 신생업체들까지 가세하면서 국내 3사의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장 점유율을 갉아먹고 있다. 이에 국내 3사 점유율은 2020년 35%에서 2021년 31%, 2022년 32%로 축소되고 있는 추세다.

물론 중국을 제외할 경우는, 최근 국내 3사가 공격적인 증설을 잇따라 하면서, 50% 이상 점유하고 있다. 그러나 갈수록 CATL의 해외 진출 확대로 중국의 점유율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다.

중국 CATL은 2022년 말부터 독일 공장(8GWh 규모)을 가동하기 시작했다. 또 조만간에 유럽 최대 규모(100GWh)인 헝가리 공장을 신축할 것이라고 발표하기도 했다. 그런 가운데 이차전지의 핵심 성능인 용량, 수명, 안전성 등을 결정하는 주요 소재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과 중국 등이 기술력 확보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물론 국내기업들도 이차전지 소재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제조사와 소·부·장 기업 간 공동연구 지원에 나서고 있다. KDB연구소는 “현재 국내 이차전지 업계는 자체적으로 기술개발을 진행하거나 제조·소재사 간 일부 협력관계가 구축되어 있으나,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해선 이차전지 제조사와 소·부·장 기업 간 기술협력을 확대하고, 공동연구를 더욱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즉, “이차전지 기술은 주로 화학소재 분야인 만큼 기술 고도화에 따라 정밀 제조공법 등이 필수여서, 소·부·장 기업 간 긴밀한 협력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특히 국내 이차전지 소·부·장 기업들은 대부분 중소·중견기업으로 자체적인 R&D투자 여력이 크지 않아 정부 차원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산·학·연이 협력하여 고기능성 소재 분야 등 차세대전지 핵심기술을 선점함으로써 중국 등 경쟁국과의 ‘초격차’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키워드
#이차전지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