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센터 “많아야 1~2% 증가”, ‘증가 vs 위축’ 요인 충돌하며 상쇄
중국 ‘위드 코로나’ 정책으로 개방, 그러나 주요국 ‘자국산업 보호’에 주력

(사진=현대상선)
올해 국제교역은 1~2%의 미미한 증가가 예상된다. [현대상선]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2023년 국제교역은 중국의 ‘위드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개방과, 주요 선진국들의 경기침체 등에 의한 자국산업 보호정책이 충돌하면서 대략 1~2%의 미미한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 국제무역을 견인하는 주요국들의 경기침체와 고물가, 고부채 등에 시달리면서 국제적인 경제 불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2023년 글로벌 교역’ 자료를 통해 “글로벌 경제성장률과 교역량 간의 장기 탄력성을 감안할 때 2023년 글로벌 교역량은 부진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국제교역의 장기 탄력성은 교역량 증가율과 성장률의 비율이다.

중국 리오프닝 등 교역 증가 유인 변수도

이에 따르면 2023년에 국제교역의 긍정적 측면은 중국의 ‘리오프닝’(Reopenning)을 꼽을 수 있다.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포기함에 따라 모든 봉쇄 조치를 풀고, 국제 교역 통로를 완전히 개방하는 것이다. 그 만큼 국제교역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란 얘기다.

또한 팬데믹에서 앤데믹으로 전환한 주요국들 역시 대부분의 이동·물류 제한을 철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가격 하락, 운송비 감소, 지역별 자유무역협정 등이 작용하면서 교역량이 한층 증가할 것이란 예상이다.

그에 따라 국제 물류 노선이 증가하고, 신규 화물선 진수 등도 이어질 전망이다. 국제통계분석 자료인 옥스퍼드 애널리티카(Oxford Analytica)에 따르면 2023년 글로벌 컨테이너선 용적량은 전년보다 9% 가량 증가하면서 대륙 간 운송비도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다.

주요국 고물가·경기침체 등 ‘수입수요’ 크게 둔화

반면에 교역 제약 요인도 클 것으로 보인다. 즉, 주요국의 경기침체 우려와 고물가, 부채 부담, 자국산업 보호정책 등으로 선진국의 수입수요가 크게 둔화될 수 있어 글로벌 교역량 증가를 억제하는 요인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현재 글로벌 경기가 침체의 경계 지점에 근접하고 있다는게 많은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그에 따라 단기 간에 유례없는 긴축정책이 이어지고, G3(미국, 중국, EU)가 동반 침체할 가능성 등이 커서 경기가 급속히 침체할 것이란 예상이다.

또한 통화긴축으로 인해 글로벌 금융상황이 악화되고, 글로벌 경기가 잠재성장률을 하회하면서 GDP갭이 마이너스(-)를 보일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GDP갭, 즉 실제GDP가 잠재GDP를 밑돌면서 그런 현상이 빚어진다는 얘기다.

주요국의 고물가ㆍ고부채도 국제교역을 위축시키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즉, 수출품에 높은 수준의 물가가 반영된 데다, 주요국의 부채도 팬데믹 기간 중 크게 늘어나 수입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을 구조적으로 제약하고 있다.

주요국들은 또 코로나19 와중에 늘어난 재정지출을 정상화하기 위해 2022년 이후 재정지출을 축소 기조로 전환한 바 있다. 올해도 그 흐름이 유지될 전망이 우세하다.

‘경제 민족주의’ 강화, 국제교역 위축

이같은 동향 속에서 결국 주요국들은 자국산업을 보호하는데 역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즉, “주요국의 지정학적 대립과 공급망의 안정성 우선 정책 등으로 벨류체인이 지역화하고 경제민족주의(Economic Nationalism)가 강화될 것”이라는게 국제금융센터의 예상이다.

이런 변수를 종합하면 결국 금년도 국제교역은 확대보다는 위축될 가능성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 결과 글로벌 교역량은 1~2% 내외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금융센터는 “결국 2023년 글로벌 교역량은 부진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특히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자료를 인용하며 “G3의 수요 위축 등으로 2023년 아시아 전체의 수출물량 증가율은 1%를 소폭 상회하는 수준에 그칠 소지가 크다”고 결론지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