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2분기 연속 적자는 구조적 요인보다 경기부진 탓”
중국 소비시장 적극 공략, 2-3선 도시 진출전략 고려 필요”

중국 상하이 푸동지구 야경.
중국 상하이 푸동지구 야경.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우리나라의 對중국 수출이 감소세를 보이며 수교 이래 처음으로 2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한 것은 구조적 요인이라기보단, 경기적 요인이 크다는 분석이다. 다만 경기가 호전된 후에도 과거와 같이 흑자폭을 크게 늘릴 수는 없을 것이란 전망이다. 한국무역협회는 17일 중국과의 교역의 구조적 특징과 경기적 특징을 심층 분석하고, 대중 무역적자에 대한 구조적 요인과 경기적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비교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진단했다.

한국무역협회는 보고서에서 “구조적 요인이 경기적 요인보다 커서 최근의 대중 무역적자가 장기화될 것인지, 아니면 경기둔화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인지를 분석했다”며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대중 교역은 경기적 요인의 영향력이 구조적 요인보다 크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경기회복과 교역단가 안정화가 이뤄진다면 다시 대중국 무역수지가 흑자로 전환될 전망이다. 즉 “중국의 실물경기가 회복되거나 인플레이션이 해소되고, 우크라이나 사태 종식으로 원자재가격이 안정되는 등의 여건 변화”를 전제한 것이다. 무역협회는 다만 “한국의 대중국 수출구조 측면에서 보면, 중국 내수 영향력이 금융위기 이후 축소되고 있다”며 “앞으로 중국 내 경기가 회복되어도 대중국 수출이 과거와 같이 급격하게 확대되면서 무역수지 흑자 폭을 빠르게 넓혀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앞으로 고도의 기술과 관련된 중간재 수출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기존 중간재 중심의 수출구조에서 소비재, 식품 등으로 핵심 수출품목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중국인의 소득증대와 생활수준 향상으로 소비구조가 업그레이드 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내수중심 성장 정책을 강화함에 따라 고급 소비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면서 “중국 소비시장 공략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한편, 2-3선 도시에 대한 진출전략 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한편 무역협회는 한국의 대중국 교역의 구조적 특징은 용도별(최종귀착지별), 기술수준별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그 중 용도별 관점은 중국이 국산화율을 높이고 생산기지로서의 역할이 줄어들면서 내수용과 수출용 수입이 모두 둔화되는데, 수출용 수입 둔화 폭이 더 크다는 쪽으로 결론지었다.

실제로 중국의 한국산 수입 비중을 보더라도 내수용 수입의 경우 2007년 8.4%에서 2021년 6.5%로 하락했고, 우회수출용 수입 비중도 2007년 10.2%에서 2021년 8.1%로 하락했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 측면에서 보면, 내수용과 우회수출용 비중이 2007년 6대4에서 2021년 8대2로 변화하면서 우회수출을 위한 대중국 수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중국 내수가 증가하면 대중국 수출도 확대돼 무역수지도 흑자 전환할 것으로 보여 중국 내수공략이 관건임을 알 수 있다”면서 “다만, 중국의 전체 내수용 수입이 둔화세를 보이고 있어, 중국 내수 회복에 따른 대중국 수출 증가가 과거와 같이 비례적으로 확대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단서를 달았다.

기술수준별 관점, 즉 고도의 기술이나 중간 수준의 기술, 낮은 수준의 기술별로 분석한 결과도 눈길을 끈다. 고도의 기술 관련 중간재에 대한 중국의 수입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는 중국의 날로 많이 수입하고 있는 고도의 기술 품목을 중심으로 대중국 수출 전략을 바꿔야 한다는 얘기다. 특히 “장기적 관점에서 보면 반도체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이 부진하다면 대중국 구조적 적자는 불가피하다”면서 “이 같은 구조적 요인은 양국의 산업간 상호보완 구조와 무역구조에 의해 장시간에 걸쳐 형성되고, 단기간에는 변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당 기간 지금의 추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경기적 영향의 경우 수출 측면에서 보면, 국제원자재가격, 중국 내 투자, 중국 소비가 대중국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경기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수입 측면에서는 경기적 요인에 따른 급격한 단가 변동으로 대중국 수입액이 크게 증가했다. 올해 대중국 주요 수입 품목 중 반도체, 정밀화학원료, 컴퓨터, 산업용전기기기 등은 급격한 단가 변동이 수입액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무역협회는 공급망 관점에서 분석을 가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생산거점으로서 중국의 입지가 축소되고 우리 기업을 포함한 다국적 기업들의 글로벌 생산거점이 동남아, 인도 등으로 계속 이전되고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대중국 무역수지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흑자 구조를 유지해나가기 위해선 고도의 기술 관련 공급망에 주력해야 한다는 권고다. 즉 “핵심 소재·부품 등에 있어서 고도의 기술 관련 중간재를 중심으로 탄탄한 안정적인 수출 공급망 체계를 확보해야 하며, 그 부가가치를 더욱 확대하기 위한 기술혁신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키워드
#중국 #수출 #무역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