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 中企·소상공인의 차별화 내지 생존 비법” 주장도
AI·로봇, 스마트오더 기법, 온라인 커머스, 자동 쇼핑, 보안기술 등

사진은 스마트매장의 기법 중 하나인 '미러로이드'로서 본문과 직접 관련은 없음.
스마트매장의 기법 중 하나인 '미러로이드'.

[중소기업투데이 조민혁 기자] 스마트매장이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의 또 다른 차별화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중소기업유통센터 등 관련 기관들도 스마트매장 혹은 스마트상점 기술을 적극 보급하는 한편, 관련 교육도 수시로 실시하고 있다. 아직은 피부로 실감하지 않고 있는 소상공인들이나 중소기업들에게도 스마트매장은 멀지않아 현실의 대안으로 다가올 전망이다.

국내에서도 매장 자동화의 첨단 기법인 ‘아마존고’가 점차 확산되고 있는 것도 이를 뒷받침하는 사례다. 소비자는 미리 아마존 회원 가입을 했다가, 매장에 들어서면서 앱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물건을 살 수 있다. 장바구니에 스마트폰을 집어 넣고 상품을 집으면 앱 속의 가상 장바구니에 들어가고, 자동으로 신용카드에서 결제가 된다. 만약 사려던 것을 다시 매대에 갖다놓으면 장바구니에서 목록이 빠진다.

이는 ‘아마존고’가 딥 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한 ‘저스크 워크아웃’ 프로그램이다. 그냥 물건만 골라 매장을 빠져나오기만 하면 자동으로 계산된다는 뜻이다. 줄 설 필요도 없고 계산대도 필요 없다. 물론 이를 위해 이미 매장에는 수많은 카메라와 블랙박스 센서가 있고, 소비자가 어떤 상품을 선택했는지 자동 감지하고 앱에 연결된 신용카드로 비용을 청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말 그대로 주변 환경과 쌍방향을 넘어선 유기적인 피드백 구조로 ‘스마트’화된 매장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해부터 첨단 스마트매장 기술을 접목한 또 다른 AI무인판매 편의점도 최근 그 숫자를 늘려가고 있다. 고객 안면인식 기술이 먼저 방문객을 체크하고, AI무인판매 로봇이 상품이 있는 곳으로 안내한다. 이후 스마트 결제 솔루션이 작동하는 가운데, 고객이 상품을 고른 후 그의 표정과 만족도 등을 이미지․모션 센싱이 동시에 실시간으로 살핀다. 고객이 가게 문을 나간 후에도 그에 관한 고객 진단 기능에 의해 신상 정보가 피드백되어 데이터로 저장되고, 마이닝 재료로 활용된다.

이처럼 전형적인 스마트 상점은 자영업체나 소규모 생필품 가게, 매장 등에 AI, 머신러닝(ML), 사물인터넷(IoT), 가상·증강현실(VR·AR)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것이다. 접객과 구매, 상품 선택, 비대면의 스마트 결제 등을 구현한 것이다. 그렇게 되면 굳이 사람이 필요없고, 대신 IT와 디지털 기술에 의해 자동으로 가게가 운영되는 방식이다.

이같은 경향은 ‘코로나19’로 특히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위기에 처한 가운데, 그 타개책의 일환으로 한층 주목을 받아 왔다. 정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은 2020년부터 스마트매장을 본격적으로 보급하기로 하고, ‘소상공인 스마트상점 보급’을 위한 콘테스트를 열어 시범 스마트 상점을 선정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소상인이나 소상공인들에게 IT․디지털기술은 아직 ‘남의 일’처럼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중소기업연구원의 조사에서도 드러났듯이, 실제로 소규모 제조업이나 도소매업, 숙박점업의 경우 클라우드나,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3D프린팅 등 신기술을 활용하는 비중은 아직 미미하다. 소규모 제조업의 경우는 전체의 0.2%에 불과하고, 대기업 계열의 체인점이나 편의점, 혹은 중견기업 수준의 대형매장을 제외한 도소매업이나 숙박․음식점은 이런 신기술을 활용하는 경우가 극히 드문 실정이다.

반면에 미국이나 유럽에선 이미 스마트 상점과 스마트 매장 기법이 빠르게 정착하고 있어 대조를 이룬다. 물론 2~3년 전부터 국내에서도 리테일 시장과 도소매업계를 중심으로 나름대로 디지털화를 위한 움직임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긴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기업이나 중견기업과는 달리, 중소기업 및 중소상인들은 ‘디지털화’ 자체에 대한 인식이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지적이다. 그 때문에 “대․중소기업, 혹은 소상공인들 간에 다시 ‘디지털 역량의 양극화’가 생겨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중소기업은 물론 소상공인들도 적극적인 디지털교육과 함께 관계당국의 디지털화 정책에 적극 참여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다. 또 매년 열리는 ‘스마트상점&리테일전’과 같은 산업전시회를 통해 스마트 기술이나 결제 시스템, AI·로봇, 스마트리테일, 스마트 물류, 스마트 오더 기법, 상점 마케팅, 온라인 커머스, 상점 디자인, 보안 기술 등을 접할 기회를 갖는게 바람직하다고 한다.

실제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업종이나 점포별 특성에 따라 지난 2020년부터 전국 100여 곳의 자영업체와 사업장에 스마트 미러, 풋 스캐너 등의 스마트기술을 보급해왔다. 또 1000여 곳의 소상공인 상점에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비대면 주문 및 결제 시스템 등의 스마트오더 기술을 보급한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이들 소상공인들에게 스마트광고, 가상·증강현실, 인공지능, 3D스캐너, 키오스크, 스마트오더 등의 마케팅 수단과 기기도 보급하고 있다.

매장 자동화화 스마트 마케팅을 위한 ‘디지털 교육’도 특히 중요하다.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중소기업유통센터의 사례도 그 중 하나다. 이곳에선 소상공인 디지털전환을 위한 특강을 수시로 실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전환’에 성공한 소상공인·인플루언서의 실제 경험이나 성장 스토리를 공유한다.

특히 스마트매장 뿐 아니라, 좀더 광범위한 스마트 마케팅 기법을 선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유튜브, 블로그를 비롯한 다양한 온라인 채널을 통해, 식당 월매출 1억을 달성한 사례를 소개한다. 또 평범한 직장인에서 온라인 스마트스토어 대표로 변신하고 인기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거나, 유통센터 교육을 받고 라이브커머스 전문가가 된 사례도 선보인다. 이들 전문가들은 “기존의 스마트 매장 기법에다, 유튜브, SNS 등 실제 디지털기술과 환경을 활용하는 것만이 디지털 시대의 생존 비법”임을 강조하고 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