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원자재 의존 中企들 “수입물가 부담 가중”
中企, 오른 폭만큼 가격 반영 힘들어
완제품 수출 대기업, '오히려 수익성 크게 증가' 예상

사진은 본문과 직접 관련은 없음.
수도권의 한 공단 모습.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대체로 완제품을 만들어 파는 대기업들은 오히려 수출로 인해 이익을 본다. 똑같은 물량을 수출해도 이익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원자재를 주로 수입해서 대기업에 납품하거나, 수출을 하는 중소기업들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된다는게 적잖은 경제 전문가들의 우려다.

이같은 우려는 최근 잭슨홀 미팅에서 제롬 파월 미 연준의장이 또 다시 금리를 획기적으로 올릴 것이란 매파적 기조를 재확인한데 따른 것이다. 그렇게 되면 우리와의 금리 격차는 더욱 커지고, 달러에 비한 원화의 돈가치가 그 만큼 낮아진 탓에 환율도 급격히 오를 수 밖에 없다. 그러나 한국은행으로선 천문학적인 가계부채 등으로 섣불리 빅 스텝을 밟을 수도 업슨 처지다.

이같은 상황에서 일각에선 달러 대비 원화가 지금의 1350원대 안팎에서 멀지 않아 1400원대까지도 올라갈 수도 있다는 전망이 유력시되고 있다. 이는 과거 IMF 당시 비슷한 수준으로 올라간 경우를 빼곤 유례가 없는 일이다. 그렇게 되면 수출에는 유리할지 몰라도, 수입물가는 엄청 뛰어오를 수 밖에 없다.

그렇게 되면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들의 고통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국내 중소기업들은 대체로 중국이나 동남아, 일본 등지에서 원자재나 중간재를 수입하는 경우가 많다. 설사 수출을 하더라도, 이를 위한 원자재는 수입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반도체 부품과 같은 첨단 소재는 물론이고, 포장재나 기계, 소형 가전제품, 조명제품 등 중소기업들의 업종 대부분이 비슷한 상황이다. 태양광LED형광등을 개발, 특허까지 획득한 Y모씨도 그런 사례다. 현재 10명 안팎의 직원을 두고 있는 Y씨는 최근 태양광과 식물생장용 LED조명을 접목한 제품을 개발했다. 이에 사물인터넷 기능을 삽인한 원격제어 기술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당분간 더 이상의 시제품 생산을 중단하고, 수주 계획도 철회했다.

“알루미늄을 비롯해 파워나, SMP(전력유도장치) 등 부품 대부분이 수입산인데, 환율이 오르는 바람에 도저히 감당을 못하겠다”는 것이다. 처음 특허 출원 당시만해도 1030~1040원 수준이었으나, 이제 무려 300원 이상 오르는 바람에 수지를 맞추기가 힘들다는 얘기다. 그래서 개발과 생산을 위해 공적 자금까지 융자받았던 Y씨는 “앞날이 너무나 불투명해서 불안하기만 하다”고 하소연했다.

특히 원자재를 수입하는 중소기업들은 대기업과는 달리, 비용 증가분을 납품가나 완제품가에 전가할 수도 없은 형편이다. “만약에 지자체나 대기업에 납품하면서 가격을 올렸다간 주문 받기 어렵다”는 Y씨의 말도 그런 의미다.

그래서 자칫 금리 인상에 이어, 환율의 급상승은 무엇보다 국내 중소기업들에게 치명적인 상황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소기업들이 계속 손실을 보다보면, 자칫 기업 경영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 나아가서 달러 대비 환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면 이는 소득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킨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런 현실을 계속 경

고해온 최배근 건국대 교수는 최근에도 각종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중소기업이 어려워지면, 소비자도 피해를 보고 계층 간의 소득 불평등도 더욱 커질 수 밖에 없어 국가적으로도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고 걱정했다.

그런 가운데 상황은 더욱 비관적이다. 미 연준 파월 의장의 말대로라면 연준은 연말까지 아직 3번이나 더 빅스템 내지 자이언트 스텝을 강행할 조짐이다. 그렇게 되면 현재의 기준 금리 2.5%가 최소한 3.5에서 4.0%대 초반에 달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되면 어렵사리 기준금리 2.5%를 붙들어매고 있는 한국은행으로서도 곤혹스런 처지가 된다. 한국과 미국 간의 금리격차는 더 커지고, 그 만큼 환율을 폭등하면서 우리 기업들, 특히 중소기업들의 어려움은 가중될 것이란 우려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