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전문연구기관들 “기술협력, 컨설팅 통한 협력” 주문
스마트공장 인력양성, 영업이익 실현, 안정적 판매에도 도움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협력을 통한 스마트 공장 구축이 바람직하다는 전문기관들의 의견이 눈길을 끌고 있다. 사진은 '2022 국제스마트팩토리전'의 모습으로 본문과 직접 관련은 없음.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협력을 통한 스마트공장 구축이 바람직하다는 전문기관들의 의견이 눈길을 끈다. 사진은 '2022 국제스마트팩토리전' 모습.

[중소기업투데이 조민혁 기자] 중소기업이 필연적으로 갖추어야 할 ‘스마트 공장’ 시스템을 위해선 무엇보다 관련 전문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특히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협력을 통해 인력을 양성, 공급하는게 바람직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최근 기술경영경제학회, 중소기업연구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등의 전문기관들이 이에 관한 유사한 대안을 제시한 연구결과나 조사보고서를 내놓고 있어 주목된다. 이들 기관의 대안을 종합하면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해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기술협력과 컨설팅을 통한 협력이 필수적이다. 즉, “코로나19로 직후 ‘마스크 대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마스크 생산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기술협력의 사례가 벤치마킹 대상”이란 의견이다.

스마트공장 운영을 위해선 그 핵심 운영인력이 필수적이다. 기술경영경제학회는 “현장에서 실습을 통해 핵심 노하우를 전수 받아 수요기업에 직접 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실제로 대기업과 협력하는 중소기업 스마트공장은 생산제품의 안정적인 판매도 가능하다”고 장점을 강조했다. 그래서 “이를 위해선 대기업의 지속적인 기술컨설팅과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스마트공장 핵심 운영인력을 양성하는 체계 구축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그러나 “문제는 중소기업이 스마트공장을 도입할 만한 동기를 부여하는 수익성 여부”라고 짚었다. 즉, “스마트 공장 도입을 통한 생산성 증가 효과가 해당 기업에 피드백되지 않거나, 기술혁신과 그로 인한 지속적인 성장으로 충분한 영업이익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중소기업으로선 스마트공장 도입을 망설이게 될 것”이란 지적이다. 그래서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은 대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공급사슬 리스크(risk)를 관리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통해 지속적인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목적을 두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들 기관은 특히 “중소기업 스마트공장의 핵심 운영인력 교육을 위한 선진 고급인력 활용이 관건”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에 따르면 우선 중소기업들은 기존 자사의 인력에 대해 스마트공장 운영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나아가선 선진국의 스마트 고급 기술인력 활용 사례를 신중히 고려할 것도 주문했다. 이 과정에서도 대기업과의 협력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다.

대기업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선진국 사례를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얘기다. 주요 선진국들은 스마트 고급 기술인력 양성과 교육을 위해 기존 인력을 대상으로 한 재직무교육이 일상화되어 있다. 또 생산 과정에서 축적된 노하우를 공유하기 위해 스마트공장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경험을 이미 축적해온 운영 인력들과의 협업이 중요하다는 조언이다. 이를 위해 “대기업과의 협력은 물론, 노사 간의 협력도 무엇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 독일의 경우 독특한 기업문화를 바탕으로 경영진에서 스마트공장 도입의 이유를 자세히 설명하고 ,고용보장 등을 명확히 함으로써 노사 간 합의점을 도출한 후 스마트공장을 도입하고 있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독일의 지멘스 암백 공장에서 운영하고 있는 것과 같은 트레이닝 센터를 구축해 근로자 재교육, 재배치를 위한 시스템 교육, S/W 관련 재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선진국의 전문기술인력을 통한 훈련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이 기관은 또 “(대기업과의 협력뿐 아니라) 정부는 각 지역별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위해 스마트공장추진단, 테크노파크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현장조직 등을 중심으로 추진하고 있는 기존의 각종 지원체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면서 “특히 지역에서 추진 중인 중소기업 스마트공장에 대한 기술융합 및 네트워크 협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 “지역별 네트워크의 주체인 지역대학 및 연구소, 민간기업 등과의 긴밀한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 나가야 할 것”도 주문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