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원자재가, 환율 안정돼도 종전보다는 높게 유지
한국무역협회, “대외여건은 호전, 그러나 정부차원 물가관리 중요”

사진은 수출항 모습으로 본문과 직접 관련은 없음.
수출항 모습.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최근 원자재가격 변동과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한 무역적자 확대, 경제성장률 둔화 현상이 내년 초에는 점차 안정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최근 ‘국제 원자재 가격과 원화 환율의 변동요인 및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전망을 내놓았다. 다만 원자재와 물가, 환율은 하방 경직성이 강해서, 안정화 이후에도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았다.

이에 따르면 올해 국제 에너지 원자재 가격과 곡물 가격이 작년에 비해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원자재 가격의 변동요인은 품목별로 다양하지만, 원자재 전반에 대해 영향을 미치고 가격 변화를 주도하는 요인으로는 4가지를 꼽을 수 있다.

우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 공급이 감소하면서 가격 상승을 유발하였고, 세계 경제 둔화와 중국의 코로나 봉쇄에 따른 원자재 수요 감소가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탄소중립 정책도 주요국의 핵심 과제로 부상하면서 중․장기적으로 에너지 가격은 하락하고, 금속과 농산품 가격은 상승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 결과 2021년 평균가 기준으로 보면, 지난 12일 현재 원유는 47.6%, 천연가스는 74.1%, 석탄은 207.4%나 상승했다. 밀(18.9%), 옥수수(34.1%) 등은 연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며 크게 오른 뒤 안정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 원/달러 환율도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1300원대를 돌파하며, 지난 12일 기준 2021년 평균 대비 14.6% 상승한 1,312.4원을 기록했다.

원화환율의 변동요인은 크게 3가지가 꼽힌다. 첫째는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세계 경제성장률이 둔화되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됨에 따라 원화 약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최근 우리나라 국제수지 적자가 확대되면서 원화 가치의 하락을 가속화시키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무역협회가 원자재가 및 환율 변동의 수출입 영향을 분석한 결과, 원자재 가격과 원 ․ 달러 환율이 각각 10% 상승하는 경우, 수출(금액기준)은 0.03% 증가에 그치는 반면, 수입은 3.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원자재가 및 환율 상승의 수출증대 효과보다, 수입증대 효과가 더 커 당분간 무역적자가 지속될 것”이란 분석이다.

‘생산비용’의 경우, 올해 원자재가 및 환율 상승을 고려하면 2021년에 비해 전체 산업 평균이 8.8% 상승한 것으로 추정됐다. 무역협회는 “철광석, 구리 등 금속 가격이 전년도에 비해 소폭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 에너지 가격과 환율이 상승하며 생산비 상승을 견인했기 때문”이라면서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생산비 상승 폭(11.4%)이 서비스업(4.4%) 보다 2배 이상 컸다”고 밝혔다.

또한 원자재가 및 환율 변동이 최종재 생산비용에 반영되기까지는 5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가 및 환율 상승 충격의 경제성장률 둔화 영향은 충격 직후가 가장 크며, 이후 등락을 거듭하다가 약 10개월 이후 대부분 소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협회는 결론적으로 “올해 3~4월 집중됐던 원자재가 및 환율 상승으로 인한 무역수지 적자, 경제성장률 둔화는 향후 대외여건이 개선됨에 따라 내년 초부터 완화될 것”이라 전망하면서도 “세계 경기침체 우려로 최근 원자재 가격이 다소 안정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물가는 기본적으로 하방 경직성이 강해 중장기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물가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