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스마트공장 구축·AI·로봇자동화 등 ‘스마트화’ 추진 중
과기硏, "공정개선 뛰어넘어 중장기 국가 성장동력 차원 접근 필요"

사진은 '2022 스마트팩토리전'에 출품한 업체 부스이며, 본문 기사와 직접 관련은 없음.
'2022 스마트팩토리전'에 출품한 업체 부스.

[중소기업투데이 조민혁 기자] 중소벤처기업부를 중심으로 중소기업들의 스마트화(디지털화)를 위한 정책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 정책이 실효를 거두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에 대해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독일과 미국, 중국 등 해외 사례를 참조해 제조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디지털 전환을 위한 지원책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문했다.

중소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향후 4차산업혁명의 완수를 위한 기반을 튼실히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에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지난 15일 펴낸 종합보고서에서 “(중소기업의 경우) 정부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과 1차적으로 직접 연관성이 있는 제조업 및 제조기업 뿐만 아니라, 유관 분야인 AI 및 빅데이터 등 첨단 정보통신 기술 등과의 유기적인 연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미 중소기업들의 스마트제조 및 스마트공장 적용 확대를 중심으로 디지털화를 추진 중이다. 그러나 그 내실을 기하기 위해 스마트 공장 구축을 넘어서는 고도의 디지털화를 지향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현재 정부는 중소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솔루션이나 연동설비를 지원, 스마트공장 수준을 고도화하고 있다. 또 대기업 등이 중소·중견기업과 협력해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경우, 구축비용의 일부를 지원하기도 한다. 특히 ‘K-스마트 등 대공장’이란 이름으로 “세계적인 스마트공장 고도화 추세에 발맞춰 중소·중견기업의 선도형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 제조 현장에 로봇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도록 하고, 유사 공정이나 업종끼리 공통 솔루션을 구축하도록 지원하기도 한다. 이른바 ‘탄소중립형 스마트공장’을 지향한다는 취지에서 에너지 진단·설계 컨설팅, ICT 기반의 탄소저감 공정으로의 전환, 고효율 설비 등도 지원한다. 특히 ‘디지털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있다. 이는 다수의 협력사들이 일종의 가치사슬을 형성하여 공동 또는 협업스마트시스템을 구축하고, 개별 스마트공장을 보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밖에도 각종 문제를 인공지능을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최적의 인공지능 솔루션을 추천하거나, 중소 제조기업에 적합한 제조데이터와 인공지능 분석모델 및 인공지능 모델에 따른 학습·테스트를 지원한다. 특히 “지역 수요를 반영한 지원을 통해 지역기업의 데이터·인공지능을 활용한 제조 능력을 고도화하고, 중소·중견 제조기업의 현장 인력(재직자)을 대상으로 인공지능이나 데이터 활용 교육을 지원한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스마트공장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권역별로 특화된 스마트공장을 건설하도록 한다.

이같은 정부의 중소기업 스마트화가 결실을 맺기 위해선 “주요 제조강국들이 그렇듯이, 국가 차원의 기술혁신이나 산업혁신전략이란 거시적 관점에서 연속성을 지닌 스마트제조혁신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게 앞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조언이다. 연구원은 그러면서 주요 국가들의 스마트 공장 정책을 제시, 벤치마킹 대상으로 삼을 것을 주문했다.

독일은 4년 주기로 발표되는 첨단기술전략과 인더스트리 4.0, 플랫폼 인더스트리 4.0 등 국가 차원에서의 이니셔티브(Initiative)를 통하여 스마트제조 및 디지털 전환 전략을 수립, 추진하고 있다. 이 분야에서 매우 적극적인 중국 정부는 ‘중국제조2025’, ‘인터넷+’ 등과 함께 “최장 30년의 국가 장기 비전 목표를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후속 전략과 정책들을 발표한 후 약 10년 단위로 구분하여 단계별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미국은 자국 경제 하락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제조업 경쟁력 약화에 대응하고, 제조업 재부흥을 위하여 이미 오바마 행정부 시절부터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연구원은 “최근에는 글로벌 패권 경쟁 속에서의 산업 주도권 확보라는 관점까지 확대하여 스마트제조혁신 정책을 추진 중”이라며 “국가 성장동력의 약화, 코로나19 상황에서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의 대응, 일자리 창출 등 국가·사회적 문제 해결의 관점으로 스마트제조혁신 정책에 접근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일본도 중소기업 스마트팩토리화 지원을 위한 로드맵을 발표하여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에 연구원은 “최근에는 기존에 설치된 스마트공장 고도화 관점에서 AI 및 제조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 현장에서의 스마트제조 활용을 지원하는 정책도 추진 중이지만, 아직까지는 스마트공장의 구축을 위한 직접 지원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지적하며, “중소 제조기업의 디지털 역량 강화 뿐 아니라, 중장기 미래성장 동력 관점으로 확대하고,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