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완성차업계 2030~35년 무렵 ‘100% 미래차 체제’ 예상
북미, 유럽, 중국 등도 10~15년 내 ‘완전한 미래차 시장으로 전환’
고사 위기 부품업체들, “전기·수소차 ‘사업전환’ 통해 활로 찾는다”

사진은 '2021 제주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에 출품된 각종 부품업체들의 부수로서, 본문 기사와 직접 관련은 없음.
'2021 제주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에 출품된 각종 부품업체들의 부스. 본문 기사와 직접 관련은 없음.

[중소기업투데이 조민혁 기자] 국제적인 온실가스 감축 노력과 전기차 내지 수소차의 빠른 보급으로 인해 기존 완성차 부품업계도 기로에 서있다. 현재로선 엔진 등 내연기관 부품산업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보이면서 이에 대한 업계 나름의 대안을 모색하는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이대로 가다간 고사 위기에 처할 수 밖에 없는 국내 자동차 부품 업계의 현실은 과연 어떨까.

이미 기존의 자동차부품 기업들 중 많은 수는 전기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관련 업종으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의 ‘국내 완성차 업계의 전동화 전환 전략’ 등에 따라 자동차 부품의 전동화(電動化) 추세도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관해 심층적으로 분석한 자료를 내놓은 KDB미래전략연구소에 따르면 정부는 2021년 10월 ‘2030 국가 온실가스 목표(NDC)’를 상향하면서, 친환경차 보급 등 수송 분야의 온실가스 목표도 기존보다 크게 높은 37.8% 감축하는 것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미 완성차 업계의 추세도 급속히 전기차로 전환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대차만 해도 2035년까지 유럽시장에 전기자동차만을 수출하고, 2040년까지는 전체 판매량의 80%를 전기차로 출하한다는 계획이다. 기아차 역시 2030년 전기차 120만 대를 판매한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해외 완성차 시장도 마찬가지다. EU는 2035년부터 유럽 내 내연기관을 장착한 신차 판매 금지 정책을 발표했다. 중국도 2035년 플러그인하이브리드나, 순수 전기차, 수소차 등 신재생에너지차가 50% 이상 달성하도록 한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미국 역시 2030년엔 신차 판매의 50%를 전기차가 차지하도록 하는 행정명령을 지난해 8월에 공표한 바 있다.

이처럼 북미와 중국, 유럽 시장의 급속한 전기차 전환은 국내 완성차 부품업계에도 큰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이들 시장은 국내 완성차 업체의 수출시장 중 64.3%(2021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 만큼 이 추세대로라면 국내 내연기관 부품산업이 빠르게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조속한 부품 전동화(전기차 등)가 필요하다”는게 전문가들의 주문이다.

다행히 국내 자동차부품 기업들은 지난 2016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기업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기업활력법)에 따른 사업재편 제도를 활발하게 이용하고 있다. 기존 부품 기업들 뿐 아니라, 다른 업종 기업들도 전기차 등 미래차 관련 업종으로 진입하기 위해 이 법률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활력법’에 따른 사업재편 제도는 기존 기업들이 사업재편을 애로없이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이 법률은 ‘과잉공급 완화’, ‘신산업진출’, ‘산업위기지역 위기극복’ 등의 3개 유형에 속하는 정상적인 경영상태의 기업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대상 기업에겐 R&D, 정책금융, 컨설팅 지원, 세제 우대, 상법 절차 간소화, 공정거래법 규제 유예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2021년 중 사업재편 승인을 받은 기업은 108개에 달했다. 그중 자동차부품업체는 34개로서, 전체 사업재편 승인 기업의 31.5%를 차지할 정도로 많았다. 그 만큼 미래차를 향한 전환기에 처한 부품업체들의 사정이 절박함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들 부품기업들은 사업재편을 통해 거의 모두가 전기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관련 업종으로 주력 제품을 바꾼다는 전략이다.

자동차부품업체 이외의 다른 업종 기업 74개 사(완성차 업체 1개 사 포함) 중에서도 미래차 관련 업종으로 사업을 하겠다고 전환을 신청한 경우도 19개 사에 달했다. 이는 자동차 부품기업 전체의 46.8%, 이에 고용된 노동자들의 47.4%가 미래차로 사업을 재편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현실과도 밀접한 대목이다. 그런 가운데 정부는 2030년까지 부품기업 1000개를 미래차 기업으로 전환하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