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GDP의 중국의존도 7.5%, 교역 상대국 중 가장 큰 비중
중국 GDP 30% 차지하는 지역 8주 전면봉쇄?
한국 GDP 0.26%p 하락 예상

사진=테크레이다, Getty Image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이 한국경제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테크레이다, Getty Image]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원장 조상현)은 19일 ‘중국의 봉쇄조치 시나리오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 중국의 ‘제로코로나’정책으로 인한 봉쇄조치가 강하고 길게 이어질수록 우리 경제에 더 큰 타격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르면 중국의 전면봉쇄된 지역 GDP가 중국 전체의 30%를 차지한다고 가정할 경우, 8주 전면봉쇄가 현실화 될 경우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3.4%p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한국의 GDP 성장률 역시 0.26%p 하락이 전망된다. 이에 “중국의 봉쇄조치 장기화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우리 정부와 기업의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020년 기준 중국의 최종 수요가 한국 국내총생산(GDP)에 기여한 비중은 7.5%로서 모든 교역 국가 중에서 가장 컸다. 그런 와중에 중국이 ‘제로 코로나’정책으로 봉쇄조치를 내리고 이로 인해 수입수요가 감소할 경우, 한국의 대중 수출은 물론 경제성장률 하락까지 우려된다.

무역협회에 의하면 중국의 봉쇄조치는 ▲봉쇄강도(전면 또는 부분), ▲봉쇄지역 크기(중국 GDP 비중 10%~50%), ▲봉쇄기간(6~10주) 등으로 구분해 분석할 수 있다. 현실적인 시나리오 중 하나는 ‘중국 GDP의 30% 차지하는 지역에 대한 8주 전면봉쇄’다. 그럴 경우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3.4%p 하락하고 이로 인해 한국의 GDP 성장률도 0.26%p 하락할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중국이 봉쇄조치를 내린 곳은 상하이와 베이징 두 지역이 대표적인데, 해당 지역이 중국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4%에 달한다. 이들 지역의 봉쇄 기간이 얼마나 길어지느냐에 따라 중국은 물론, 우리 경제 미치는 영향도 크다. 만약 전면 봉쇄 기간이 6주에서부터 10주에 이를 경우, 중국의 GDP는 0.85%p(6주)~1.4%p(10주) 하락하고, 이로 인한 한국 GDP 성장률은 0.06%p(6주)~0.11%p(10주)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더욱이 코로나19 확산세가 심화돼 광둥(중국 GDP의 10.9%)과 장쑤(10.1%) 등까지 봉쇄가 확대되면 사태는 더욱 심각해진다. 이들 두 지역의 경제비중은 중국 전체의 30%에 육박하게 된다. 이 경우 봉쇄 시나리오에 따른 한국의 GDP 성장률 타격은 최소 0.05%p(6주 부분봉쇄)에서 최대 0.32%p(10주 전면봉쇄) 하락할 것으로 추정됐다. 만약 8주 전면봉쇄를 가정하면 한국 GDP 성장률은 0.26%p 하락할 것으로 추산된다. 제조산업별로는 전기장비(0.08%p), 화학(0.024%p), 기초·가공금속(0.016%p) 순으로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무역협회는 중국의 봉쇄조치 장기화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우리 정부와 기업의 대비책을 촉구하고 있다. 우선 정부는 아직 봉쇄가 되지 않은 나머지 지역으로 봉쇄가 확대될지 여부를 예의 주시하고, 경제안보 핵심품목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실시간 현지정보를 기업에 공유하는 등 적시 대응이 요구된다는 주장이다.

특히 상하이 인근 장쑤성, 저장성 등과 같은 지역의 경우 반도체, 배터리, 석유화학 등 주력산업 분야의 우리 기업 생산기지가 집중돼 있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는 중국 내 주요 도시 봉쇄조치에 대응해 ‘공급망 애로 해소 원스톱(One-Stop) 창구’를 개설해 조기경보시스템(EWS)을 운영 중이긴 하다.

기업들 역시 비상한 대응책이 필요하다. 다국적 기업들이 이번 중국 봉쇄 사태 등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공급망의 효율성보다 안정성을 중시하게 됨에 따라 위기 때 복원력이 강한 공급망 다원화 등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는 주문이다. 우리 기업들은 또 글로벌 공급망 측면에서 ‘탈중국’ 수요를 흡수함으로써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것도 방법이다. 나아가선 중국 외에도 다른 국가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해외 공장 가동률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주문이다.

무역협회 강내영 수석연구원은 “중국 내 오미크론의 통제가 예상보다 길어지고 있는 가운데 봉쇄조치로 야기된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가 중국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국들의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우려하며, “중국의 봉쇄조치 장기화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우리 정부와 기업의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다시금 강조했다.

키워드
#중국봉쇄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