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빅스텝’ 너머 ‘자이언트 스텝’ vs 한은 “우리가 속도 맞출 필요없어”
우리금융 “5월엔 현 수준 유지, 7월 인상 가능성”
...미국보다는 완만할 듯

사진은 한국은행 홈페이지 이미지 캡처 화면
한국은행 홈페이지 이미지 캡처 화면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0.5%의 금리 인상을 단행한 미국 연준의 빅스텝에 이어, 가까운 시일에 0.75%의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에서도 ‘R(Recession)의 공포’가 짙어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국내 금융권에선 “미국보다는 완만한 한국의 금리인상 기조가 예상된다”는 등의 비교적 신중한 전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4월19일 국회 인사청문회 당시 “미국의 물가상승률은 8%에 달하지만, 한국은 4%에 불과하기 때문에, 속도까지 따라갈 필요는 없다“면서도 "성장과 물가가 상충관계를 이룸에 따라 보다 정교한 통화정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혀 이런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역시 지난 6일 정례 ‘금융 브리프’를 통해 “5월 금융시장은 인플레이션에 대응한 연준 등 주요국 중앙은행의 긴축 가속화를 반영해 국채금리와 달러화 가치가 추가 상승(주요국 통화 약세)하면서, 주가지수의 반등폭이 크게 제약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한은은 그동안 금리인상(총 100bp)의 파급 효과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국 코로나 봉쇄 등에 따른 경기하방 위험을 감안해 5월에는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고 7월에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속도조절론에 무게를 실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의 경제·글로벌연구실의 브레인 4명(연구위원)이 공동으로 분석, 정리한 ‘브리프’에 따르면 금리인상 시기를 놓친 미 연준에 비해 한은은 지난해부터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해왔다는 사실이 부각됐다. 또 “가계대출도 4개월 연속 감소했기 때문에 두달 연속 금리를 올리기 보다는 점진적 인상 기조를 시장에 전달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전망했다.

이들 연구위원들은 “다만, 5월 금통위 직전(5월24일) 시점에 기대 인플레이션이 급등할 경우 물가 불안심리를 잠재우기 위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단서를 달았다.

그럼에도 4월 기준금리를 25bp(0.25%) 올린 점을 환기시키며 “한국은행은 금리인상의 파급효과와 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경기하방 위험을 감안해 오는 5월 26일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를 현 수준(1.50%)에서 동결하고, 7월 14일 금통위에서 1.75%로(0.25% 인상) 올릴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에 비해 지난 5월 4일 기준금리를 50bp 인상한 미 연준은 고용·소비 호조, 물가상승률 확대를 반영해 6월 FOMC(6월 14~15일)에서도 50bp 추가 인상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국고채 금리는 인플레이션 부담, 국내외 기준금리 인상, 차기 정부의 추경 편성 추진으로 오름세를 지속(국고채 3년물 4월말 2.96%→5월말 3.20%)할 것으로 예상됐다. 선진국 국채금리도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인플레이션 장기화 우려, 재정지출 확대로 상승압력이 우세(미 국채 10년물 4월말 2.93%→5월말 3.10%)할 것으로 보았다. 원화는 무역수지 적자, 한미 기준금리 역전 가능성으로 미 달러화에 비해 약세를 기록하며, 4월 말 원/달러 환율 1256에서 5월말에는 1270원으로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엔화도 미일 통화정책 차별화로 인한 미국과의 금리차 확대가 작용하고, 유로화·위안화 모두 각각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를 반영해 달러에 비해 약세를 보일 전망이다.

국내 주가지수에 대해 연구소는 “소비회복과 수출증가, 차기 정부 출범 기대로 반등여력이 상존하나, 높은 원자재가격 부담과 금리 오름세로 횡보(KOSPI 4월말 2695→5월말 2700)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그린스탁지수(WGSI)는 글로벌 전기차 수요가 늘어나면서 2차전지 업종 위주로 상승(4월말 2107→5월말 2120)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