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세 이상 '시니어 기술창업' 활성화 필요
시니어 창업 평균 50.8세, 베이비부머는 60세 창업
...‘판촉’과 ‘자금’, ‘기술’ 등 지원 절실
산업硏·중소기업연구원 “특히 베이비 부머 기술창업 촉진해야”

사진은 '2019프랜차이즈 창업박람회' 전경.
 '2019 프랜차이즈 창업박람회' 전경.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인구 고령화와 기업 구조조정 등에 대응하면서 질좋은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베이비 부머를 포함한 시니어 기술창업이 활성화돼야 하고, 이를 위한 정부와 관계 당국의 제도적 뒷받침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은 최근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이라는 연구보고서를 통해 “시니어 기술창업은 청년창업에 비해 축적의 기술, 사회활동 및 기업근무경력, 사회적 네트워크 등을 활용해 기업 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창업 성공확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일자리 창출에서도 보다 높은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시니어 창업은 일단 2010년대부터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 출생)의 은퇴가 본격화되고, 정부가 같은 시기에 시니어 창업 지원사업을 마련하면서부터 그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시니어 창업의 사전적 의미는 ‘은퇴 이후 사업을 처음으로 이루어 시작하는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청년 창업에 대비한 개념으로 40세 이상의 창업자를 의미한다. 그러나 산업연구원이 222개의 시니어 창업자를 대상으로 실태 조사한 결과, 기업에서 취득한 기술·지식을 바탕으로 퇴직 이후 창업에 도전하고 있으나, 체계화된 지원제도·창업생태계 조성등이 뒷받침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시니어 기술창업자의 창업 당시 연령은 평균 50.8세(베이비 부머 60.0세), 기업 경력자 비중 84.6%(베이비 부머 88.9%)로 나타났다. 또 시니어 기술창업자의 창업 이전 재직 직종은 제조업 43.2%, 비제조업 41.4%로 나타나는 등 기업(회사) 경력자가 전체의 84.6%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베이비 부머의 경우는 제조업 출신 55.6%, 비제조업 출신 33.3%로 기업(회사) 경력자가 전체의 88.9%로 기업(회사) 경력자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은 이런 조사 결과에 “우리나라 시니어 기술창업자가 대부분 기업(회사) 경험을 바탕으로 창업하고 있으며, 특히 베이비 부머에서 기업(회사) 경험을 바탕으로 창업한 기술창업자 비중이 보다 높음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시니어 기술창업자의 창업 이전 근무부서는 기술·연구 부서(33.3%), 마케팅 부서(28.2%), 사무·관리 부서(15.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베이비 부머의 경우는 기술·연구 부서(30.6%), 마케팅 부서(25.0%), 사무·관리 부서(25.0%)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 창업을 결심하게 된 요인은 ‘재직 기업에서 습득한 기술 등 사업화’가 가장 많았고, ‘재직 기업에서 축적한 기업운영·조직관리 경험’, ‘창업자금 조달 원활화’, ‘창업사업화 제품 판로 확보’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또 창업자금은 ‘퇴직금 등 자기자금’, ‘정부지원 창업자금’, ‘금융기관 융자금’ 순으로 나타났는데 반해 정부 지원에 의한 ‘엔젤·벤처캐피털 등 벤처자금 활용’ 비율은 불과 2.0%에 그쳤다. 또 시니어 기술창업기업이 사업화를 위해 필요한 창업 당시 적정 수준의 창업자금 규모는 업종, 창업형태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평균 2억7800만원 수준으로 조사됐다.

특히 시니어 기술창업자들이 창업 초기 조달하는 자금의 구성은 ‘퇴직금 등 자기자금’이라는 응답 이 46.1%로 가장 높았다. 이를 두고 “시니어 기술창업은 정부의 주요 정책대상이 되고 있는 청년 창업에 비해 퇴직금 등 자기자금을 활용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반면, 정부지원 창업자금, 금융기관 융자금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을 뿐만 아니라, 엔젤·벤처캐피털 등 벤처자금 활용 또한 매우 미흡함을 의미한다”고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은 해석했다.

그러나 창업에 따른 가장 큰 애로사항은 역시 ‘창업자금 확보’ 문제였다. 그 뒤를 이어 ‘판로 확보·안정적 수익에 대한 불안감’, ‘창업 실패 두려움’ 등의 순이었다. 또 시니어 기술창업 지원제도의 문제점은 ‘정부지원제도 부족’, ‘기술창업 지원제도 모름’, ‘제도 활용절차 복잡’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산업연구원이 중장년기술창업센터의 운영 및 활용에 따른 문제점을 조사한 결과, ‘중장년 기술창업기업에 대한 정부지원제도 부족’이라는 응답이 58.1%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중장년 기술창업지원제도에 대해 잘 모름’, ‘중장년 기술창업 지원제도 신청 및 활용 절차 복잡’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향후 시니어 기술창업 활성화를 통한 경제활력 제고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베이비 부머 등 시니어 친화적 창업환경을 조성하고, 체계적인 시니어 창업 지원제도를 마련하며, 중장년기술창업센터운영의 실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의 주문이다.

산업연구원은 “중장년기술창업센터 매니저를 대상으로 시니어 기술창업자의 창업교육 이수 실태에 대해 인터뷰한 결과, 상당수가 창업교육을 받지 않았거나 센터에서 제공하는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 교육에도 소극적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에 “시니어 기술창업이 활성화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2010년대 중반 청년창업 촉진과 같은 적극적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며 “우선 기업 등에서 근무하는 시니어 중 창업 희망자(특히 베이비 부머)를 대상으로 기업가정신 함양 등 창업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