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상 1인당 빚 5700만원, “다른 연령대보다 증가율 커”
주식·부동산 투자의 증가, 자영업 진출 및 관련 대출 확대
취약차주는 금리상승 따른 이자부담과 연체위험 더 커
자본시장연구원 보고서

사진은 본문과 관련없는 이미지에 불과함.
가계부채에 경고등이 켜진 가운데 연령별로 보면 고령층이 더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본문과 직접 관련없음.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국내 고령층의 가계부채가 새삼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노후의 편안한 삶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이란 점에서 특히 관심의 대상이다. 자본시장연구원은 최근 이 문제에 대한 별도 분석과 대안을 제시한 보고서를 통해 “금융부채 확대에 따라 높은 증가세를 보였으며, 가계자산의 경우 타 연령대에 비해 실물자산의 비중이 매우 크다”고 진단해 눈길을 끈다.

이에 따르면, 고령층의 가계부채는 금융부채 확대에 따라 높은 증가세를 보였으며, 가계자산의 경우 타 연령대에 비해 실물자산의 비중이 매우 크다는 특징이 있다. 즉 국내 60세 이상 가구주의 가구당 평균 부채 보유액은 2021년 3월말 기준 5703만원으로 2020년 3월말보다 8% 증가한 수치다. 이는 2019년 증가율 -2.9%, 2020년 증가율인 1.1%에 비해 높은 증가세다. 그 주요 원인은 금융부채의 확대라는 지적이다. 8%라는 증가율은 동일 기간 타 연령대에 비해서도 대부분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참고로 전체 평균은 6.6%, 39세 이하 9.5%, 40대 7.8%, 50대 1.6%다.

또한 60세 이상 가구주가 보유한 가구당 평균 자산을 살펴보면 2021년 3월말 기준 총자산 4억9000만원 중 실물자산 4억198만원, 금융자산 8716만원으로 실물자산이 82.2%의 비중을 차지한다. 실물자산의 비중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특징을 보인다.

최근에 두드러진 고령층의 가계부채 증가는 주식 및 부동산 투자의 증가, 자영업 진출 및 관련 대출 규모의 확대 등이 영향을 끼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고령층의 주식 투자가 증가하면서 2021년 8월말 기준 60세 이상의 신용거래융자 잔액은 2조4031억원으로 2019년 말 8578억원 대비 180% 증가했다.

특히 과거엔 예·적금 등 안전자산 위주로 투자했던 성향에서 주식 등 상대적으로 공격적인 투자를 하는 경향이 많아진 점이 특징이다. 통계청 퇴직연금통계에 따르면 퇴직연금을 중도인출한 60세 이상의 고령층 중 ‘주택 구입’을 목적으로 중도 인출한 경우는 2019년 178억원 대비 2020년 316억원으로 77.3%(138억원) 증가했다. 이는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로, 특히 코로나19 기간 중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미리 퇴직연금을 인출하는 고령층이 많아진 탓이다.

이에 따르면 최근에 두드러진 고령층의 가계부채 증가는 주식 및 부동산 투자의 증가, 자영업 진출 및 관련 대출 규모의 확대 등이 영향을 끼친 것이다. 또 고령층의 낮은 소비성향과 높은 실물자산 비중은 가계소비의 제약요인이 될 수 있고, 특히 이들 중 취약차주는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부담과 연체위험이 더 커질 수 있다. 금융당국은 차주의 상환능력에 기반한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시행하고 있으므로, 고령층의 채무상환능력과 취약차주의 금융접근성 등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국내 고령화 진행 속도가 빨라지고 총인구가 감소세로 전환하면서 현 추세가 유지될 경우 2025년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연구원이 인용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혼인, 출산의 감소 추세가 빨라지고 국제 인구 순유입 감소 등이 이어지면서 2021년부터 총인구가 감소세로 전환되었고, 고령화 진행 속도도 빨라졌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1955년생~1963년생)가 생산연령인구에서 고령인구로 이동하는 2020년대부터 생산연령인구는 급감, 고령인구는 급증하면서 연령별 인구의 변동폭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현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70년 중위연령은 60세가 넘을 것으로 예상되며(2020년 기준 중위연령은 43.7세), 이때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46.4%일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 주민등록 인구에 따르면 전국 시군구 중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곳은 41.8%인 109개에 해당된다. 연구원은 “2018년에는 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데 17년이 소요된 반면,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넘어가는 데 불과 7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OECD 37개국 중 초고령사회 국가는 11개국이며, 이중 가장 빠르게 초고령사회로 넘어간 일본의 경우 11년이 소요됐다”고 비교했다.

한편 “이같은 고령층의 낮은 소비성향과 높은 실물자산 비중은 향후 가계소비의 제약요인이 될 수 있고, 특히 이들 중 취약차주는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부담과 연체위험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 가계부채가 부동산 투자에 집중될 경우 부동산 관련 세금 부담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가계의 소비여력이 축소될 수 있으며, 실물자산 비중이 높은 국내 고령층의 경우 이러한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향후 금리가 상승할 경우 고령층 중에서도 취약차주(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 또는 저소득인 차주)의 이자부담이 커질 것이며, 연체위험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그럼에도 고령층 취약차주의 부채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채무상환부담이 큰 사람들일수록 해당 연령 전체 부채의 절반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가구주가 아직 은퇴하지 않은 경우 노후를 위한 준비상황을 묻는 질문에 ‘잘 되어 있지 않다’와 ‘전혀 되어 있지 않다’의 응답 비율은 54.2%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는 노후준비가 ‘아주 잘 되어 있다’와 ‘잘 되어 있다’의 응답 비율이 8.9%인 것에 비해 6배 높은 결과로, 상당한 경우 노후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진단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