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LED조명 대체 가능, 양자기술 접목한 발광형 디스플레이
기초과학연구원, QLED 발광효율 낮추는 ‘오제 재결합 현상’ 제거 방안 찾아
...해상도 크게 개선, 경쟁력 높여

사진은 삼성전자의 QLED-TV.
삼성전자의 QLED-TV.

[중소기업투데이 조민혁 기자]각종 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LED 대신, 양자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첨단 QLED조명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발광 효율이 낮아 실용화가 되지 않고 있다. 그런 가운데 나노구조를 이용해 QLED(양자점 LED) 발광 효율의 걸림돌인 ‘오제 재결합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이 국내 기술진에 의해 발견돼 눈길을 끈다. 기초과학연구원 연구진은 나노구조를 이용해 QLED 발광 효율의 걸림돌인 ‘오제 재결합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네이버지식백과’의 정의에 따르면 QLED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다. LCD TV와 다르게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電子)와 양의 전하를 띤 입자가 유기물 내에서 결합해 스스로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형 디스플레이 제품이므로 백라이트(후광장치)가 필요 없어 색 재현력이 뛰어나다.

이때 양자점은 지름이 수 나노미터(nm) 수준인 반도체 입자다. 입자 크기에 따라 다른 주파수의 빛을 방출하는 등 독특한 광학적 성질을 지녀 QLED 등 다양한 광전소자로 응용되고 있다.

양자점과 같은 반도체는 전자가 존재할 수 있는 두 개의 밴드를 갖는다. 전자가 차 있는 아래쪽의 밴드를 ‘가전자대’, 전자가 비어있는 위쪽 밴드를 ‘전도대’ 그리고 이 둘 사이의 에너지 차이를 밴드갭(Band Gap)이라 부른다. 밴드갭보다 큰 외부 에너지(빛)를 받으면 가전자대에 있던 전자는 전도대로 들뜨게 된다.

사진은 기초과학연구원의 실험 장면(사진=기초과학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의 실험 장면 [기초과학연구원]

전자가 사라진 빈자리를 정공(hole)이라 하며, 정공은 전도대로 올라간 전자와 쌍을 이뤄 엑시톤(exciton)이라는 준입자를 형성한다. 엑시톤은 시간이 흐르면 에너지를 잃으며 정공과 재결합한다. 전자가 공급받았던 에너지를 다시 빛의 형태로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 우리가 관찰하는 QLED 등 광전소자의 빛이다.

에너지를 받아 여기된 전자는 정공과 쌍을 이뤄 엑시톤을 형성한다. 시간이 흐르면 엑시톤은 에너지를 잃으며 전자가 받았던 에너지를 빛의 형태로 방출하는데, 이것이 광전소자의 빛이다. 엑시톤이 빛을 방출하지 않고 다른 엑시톤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경우를 ‘오제 재결합’이라고 하는데, 이는 광전소자의 발광효율을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요인이다.

에너지를 받아 여기된 전자는 정공과 쌍을 이뤄 엑시톤을 형성한다. 시간이 흐르면 엑시톤은 에너지를 잃으며 전자가 받았던 에너지를 빛의 형태로 방출하는데, 이것이 광전소자의 빛이다. 엑시톤이 빛을 방출하지 않고 다른 엑시톤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경우를 ‘오제 재결합’이라고 하는데, 이는 광전소자의 발광효율을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요인이다.

그러나 이 경우 모든 엑시톤이 이처럼 이상적으로 빛을 방출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문제다. 양자점 물질의 특성에 따라 엑시톤의 재결합은 다른 과정을 통해 일어나기도 한다. 대표적인 현상이 두 개 엑시톤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제 재결합(Biexciton Auger Recombination)’ 현상이다.

오제 재결합은 전자와 정공이 결합할 때 빛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주변에 있는 다른 엑시톤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현상이다. 즉, 빛이 밖으로 나오지 않기 때문에 양자점을 기반으로 하는 광전소자, 특히 디스플레이의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연구진은 나노구조를 이용하면 오제 재결합 현상을 억제할 수 있음을 최초로 제시했다. 지금까지 오제 재결합 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많은 분광학 연구가 진행됐지만 기존 연구는 주로 양자점 자체의 구조적 특성을 변형하거나, 새로운 형태의 양자점 구조를 합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됐기 때문에 오제 재결합 현상 자체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지는 못했다. 즉, 이번 연구는 오제 재결합 현상 자체를 제어할 수 있는 최초의 방법을 제안했다는 의미가 크다.

연구원은 “양자점 내부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오제 재결합 현상을 나노구조를 통해 제어할 수 있음을 최초로 증명했다”며 “외부 구조를 도입해 비(非)복사과정 중 하나인 오제 재결합을 억제 할 수 있어 광전소자의 효율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QLED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