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태용 (사)재외동포포럼 회장 인터뷰
25일 '재외동포 및 다문화가정 정착도시 건립'을 주제로 정책포럼
"750만 재외동포 활용해 지방도시 퇴락, 국가불균형문제 등 해소 가능"

재외동포 대상 역이민 정책과 그들이 정착할 수 있는 정주도시를 건설해 인구절벽 문제와 지방불균형문제를 풀자고 제시하는 지태용 (사)재외동포포럼 회장을 만나 자세한 얘기를 들어보았다.
재외동포 대상 역이민 정책과 그들이 정착할 수 있는 정주도시를 건설해 인구절벽 문제와 국가불균형 문제를 풀자고 제시하는 지태용 (사)재외동포포럼 회장을 만나 구체적인 복안을 들어보았다. [황복희 기자]

[중소기업투데이 황복희 기자] 우리 사회의 당면과제인 ‘인구절벽’ 문제의 해법으로 ‘역이민’ 유도 정책 수립과 함께 이들을 수용할 ‘정착도시’를 건설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구유출로 심각한 고민에 빠진 지방도시를 활성화시켜 결과적으로 국가균형발전을 이루는데도 이만한 해법이 없다는 주장이다. 세계 194국에 흩어져 살고있는 750만 재외동포를 활용해 인구절벽 문제를 비롯해 지방도시 퇴락, 국가불균형발전 등의 문제를 두루 해결할 수 있다는 얘기다.

전세계 부동산 관련 전문가들의 모임인 '세계부동산연맹 한국대표부' 지태용 회장은 수년전부터 역이민자를 위한 정착도시인 일명 ‘국제융복합도시’ 건설을 실현시키기 위해 전국 각지의 지자체를 돌며 가능성을 타진해왔다. 부산광역시에선 오거돈 시장 재임시절 수자원공사, 토지주택공사, 부산도시공사, 에코델타시티 등이 참여한 가운데 협의가 상당부분 진척이 됐으나 오 시장이 불미스런 일로 물러나면서 백지화됐다.

지 회장은 최근 사단법인 재외동포포럼(이사장 조롱제) 회장을 맡아 국제융복합도시를 국가정책과제로 구체화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공공성을 내포한 거대 프로젝트니 만큼 국회와 정부를 동원해 국가차원에서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를 위해 재외동포포럼은 25일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제121차 정책포럼을 열고, ‘인구절벽시대의 해법을 위한 이민청, 재외동포청 설립과 다문화세대를 아우르는 정착도시 건립’을 주제로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댄다.

포럼을 앞두고 지태용 회장을 만나 역이민 정책의 필요성과 국제융복합도시에 대해 들어보았다.

국제융복합도시는 어떤 도시모델인가.

“인구유출로 활력이 꺼지고 있는 지방도시를 활용해 역이민하는 재외동포들과 국내 다문화가정이 함께 모여 살 수 있는 정주도시를 만들자는 것이다. 교육, 의료를 비롯해 실생활에 필요한 모든 기반시설을 갖춘, IoT 기반의 첨단 스마트도시로 구상하고 있다. 국제학교와 해외대학 분교 등을 유치하면 새로운 교육도시가 생겨나는 셈이다. LA 코리아타운 처럼 미국거리, 러시아거리, 일본거리, 베트남거리 등 나라별 주거문화를 살리면 훌륭한 관광자원이 될 수 있다. ‘다양한 문화와 민족이 함께 사는, 365일 축제와 세계의 음식을 즐길 수 있는 도시’가 콘셉트다. 사람들이 몰리지 않을 수 없다.”

그같은 도시모델을 구상하게 된 배경은.

“직업상 세계 여러 나라를 다니며 현지 동포들을 만나보니, 연령대에 관계없이 고국으로 돌아오고 싶어하는 동포들이 의외로 많았다. 하지만 오랜 기간 해외에서 살아 고국의 환경과 문화가 낯설 수밖에 없어 정착할 곳을 고민하는 모습을 많이 봤다. 인구가 줄고있는 지방에 그들을 위한 정착도시를 만들면 재외동포는 물론 국가적으로도 일석이조가 되겠다는 생각에서 출발했다.”

이주 수요가 받쳐줄지가 관건인데.

“2015년에 미주중앙일보가 재미동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적이 있다. 당시에 50대는 절반에 가까운 47%가, 한창 일할 나이인 30대 또한 42%가 역이민을 고려한다는 응답이 나왔다. 이어 40대는 30%, 20대는 27%가 역이민을 고려한다고 답했다. 이에 비해 60대는 17%, 70대는 10%에 그쳐 오히려 고령층은 역이민 즉 거주지를 옮기고 싶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평균으로 보면 28%가 역이민을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돼, 미주한인 210만명 가운데 약 60만명이 역이민을 고려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재외동포 총 750만명 중 10%만 예상 수요자로 잡더라도 75만명에 달한다. 여기에 국내 다문화가정 243만명을 고려할 때 이주 예상수요는 더 커진다.”

유치를 타진한 결과, 지자체들의 반응은 어떠했나.

“지난 2018년 지자체장 선거와 2020년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여러 지역의 후보들과 접촉을 해보았다. 대부분 국제융복합도시 모델에 관심을 갖고 일부는 선거공약으로 채택하기도 했으나 낙선하는 등의 이유로 불발이 됐다.

오거돈 시장 재임시 부산시와는 협의가 상당히 진척이 됐으나 뜻하지않은 사건이 터져 안타깝게도 중단이 됐다. 경남 밀양에선 주민들과 시의원, 도시개발 전문가들이 유치위원회를 발족시킬 정도로 지역민들의 관심 또한 크다.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원터치로 해결할 수 있는 만큼 공공 프로젝트로 추진돼야 한다는 생각이다. 25일 포럼에도 홍문표(국민의힘), 노웅래(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여야 국회의원들이 관심을 갖고 참석한다. 국회에서 관련 특별법이 제정되면 진행이 한층 수월해진다.”

경제효과는 어느정도로 예상하나.

“750만 재외동포의 재산은 약 2000조원으로 추정된다. 이들이 한국으로 온다면 외화유입 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 국제융복합도시 인근에 산업단지를 두면 외국인근로자를 쓰기가 유용하고, 해외 경험자들의 네트워크와 노하우를 활용할 수도 있어 기업이 모일 것으로 기대한다. 이와함께 각 나라의 주거형태에서 그 나라의 독특한 문화와 음식을 선보이기 때문에 국내외 관광객들도 유입될 것이다. 한마디로 지역경제를 살리는 효자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