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집 마련 ‘필수’, 결혼·출산보다 중요, 절반이 ‘주거비, 부모 부담’

사진은 한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한 청년 취업 박람회 현장.
한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한 청년 취업 박람회 현장.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서울에 사는 청년의 절반 이상(53.0%)이 ‘부모님 도움 없이 내 집 마련은 불가능하다’고 응답했다. 현재 자가, 전세 보증금 등 주거 관련 비용을 부모가 부담하는 비중도 거의 절반(44.4%)에 육박하면서 전국 평균(34.3%)보다 높게 나타났다. 서울의 비싼 집값과 이로 인한 주거난을 여실히 반영하고 있는 셈이다.

이를 입증하듯, 서울의 청년 중에서 자신의 집을 소유하고 있는 비중은 20명 중 한 명꼴(4.5%)도 채 안되었다. 이는 전국 평균 7.8%보다 낮을 뿐 아니라, 아예 “내 집 마련을 포기하겠다”고 한 비중도 8명 중 한 명꼴(15.4%)에 달해 전국 평균(10.9%)보다 높은 편으로 분석됐다.

그럼에도 서울 청년들의 내 집 마련 욕구는 다른 지역보다 강했다. 응답자 10명 중 7명 이상(73.9%)이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대답해 전국 68.6%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집값이 비싸긴 하지만, 그 만큼 내 집 소유에 대한 집착이 다른 지역보다 높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반면에 ‘자녀는 꼭 낳아야 한다’와, ‘결혼은 꼭 해야 한다’라는 응답률은 각각 38.2%, 38.4%에 그쳐 전국 평균인 41.8%, 42.0%보다 낮게 조사됐다.

정작 ‘내 집 마련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선 주거 목적보다는 재테크의 동기가 강한 점도 눈길을 끈다. 즉 응답자 3명 중 한명이 ‘자산증식과 보전(30.3%)’이 내집 마련이 이유라고 밝혔다. 반면에 ‘임대료 상승 부담(28.0%)’과 같은 주거 편의의 목적은 후순위로 밀렸다. 이는 천정부지로 뛰는 서울 집값의 현실 앞에서 위화감이 심하고, 그 반사심리로 재테크에 대한 의지도 강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반해 다른 지역의 청년들은 ‘이사 안 하고 살 수 있어서(27.5%)’를 ‘내집 마련’의 가장 큰 동기로 꼽았고, ‘자산증식과 보전(26.1%)’은 그 다음 순으로 꼽았다.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또 서울 청년들은 ‘집’이란 곧 ‘휴식의 공간’이라는 대답이 전체 3분의1에 달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다른 지역의 청년은 ‘가족과 함께하는 공간’으로서 집이 갖는 의미가 26.7%에 달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 ‘자산증식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라고 대답한 비율도 전국 어느 지역보다 높았다.

한편 이번 조사에선 서울 청년이 생각하는 ‘행복한 삶의 요건’도 물었다. 그 결과 ‘자아성취와 목표의식’이란 대답이 가장 많았던데 비해, 다른 지역 청년들은 ‘경제력’을 가장 높게 꼽았다. 내집에 대한 집착은 강하지만, 그 역시 ‘행복한 삶의 요건’을 위한 수단으로 여기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크게 보아 경제력의 한 부분으로 보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특히 이번 조사에선 서울 청년 33명 중 한 명은 아예 방에서 안 나가거나 인근 편의점에만 외출하는 ‘은둔형 고립 청년’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지역의 ‘은둔형 고립 청년’ 중 30%는 은둔 기간이 무려 3년 이상에 달했다. 은둔하게 된 계기는 ‘취업이 안 돼서(41.6%)’가 가장 많았고, ‘인간관계가 잘되지 않아서(17.7%)’가 그 뒤를 이었다.

서울과 다른 지역을 막론하고 청년들은 대체로 일상이 힘들다고 생각하고 있다. 서울 청년들은 일상에서 ‘모든 일이 힘들었다(37.3%)’거나, ‘잠을 설쳤다(33.9%)’, ‘뭘 해나갈 엄두가 나지 않았다(24.0%)’ 등의 반응이 대부분이었다. 또 일주일간 혼점이나, 혼술을 경험한 비율은 서울 청년이 각각 65.6%, 21.3%로 전국 53.7%, 15.0%보다 다소 높았다.

이번 조사는 2020년 기준으로 만 18∼34세 청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가구 방문 조사 결과이며, 전국 응답자 3520명 중 서울은 676명(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 통계청 공개 자료)이 차지했다.

키워드
#서울 #청년 #내집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