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일자리 '제조업’ 중심으로 민간 일자리 창출 전략 구상해야”

사진은 본문과 직접 관련은 없음.
한 중소기업 사업장 모습.

[중소기업투데이 박주영 기자] 안정적인 고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선 제조업 일자리를 중심으로 고용정책을 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을 모은다. 산업연구원은 최근 일자리와 고용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통해 “제조업 고용은 코로나19로 인한 생산위축에도 조정의 폭이 크지 않아, 단기적 생산충격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흡수하는 완충재 역할을 한다”며 이같은 주장을 폈다. 이는 IT와 디지털 산업 등이 미래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는 현실과는 다소 결이 다른 것이어서 주목을 끈다.

산업연구원은 “제조업 일자리는 장시간 근로를 통해 중상위 노동소득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20~30대 청년층에게 금융업 다음으로 높은 노동소득을 제공한다.”면서 “소재·부품·장비 및 바이오헬스 등 ‘일자리 제조업’을 중심으로 민간 일자리를 확대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제조업 고용 창출을 위해 신산업, 수출 주력 제조업과는 별도로 독립적인 고용 순증가를 유발하는 세부적인 제조업종을 선택해야 한다는 주장도 곁들였다.

연구원은 특히 “화학, 의약품, 의료용기기 등 양질의 바이오헬스 제조업이나 금속가공, 고무·플라스틱 제조업 등의 소재·부품 제조업, 전기장비, 일반기계, 특수기계 등의 부품·장비 제조업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고용 없는 성장’은 생산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제조업의 고용이 장기적으로 정체 혹은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제조업 고용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배경에서 단순히 제조업 일자리 창출을 포기하고, 서비스업 일자리를 중심의 고용 창출을 도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산업연구원은 “제조업 일자리가 가진 고유의 장점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르면 제조업 고용은 ‘코로나19’ 시기에 단기적인 생산충격이 고용하락으로 전파되는 정도를 완충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장시간 근로를 통해 중상위 노동소득을 얻을 수 있는 중산층 일자리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특히 이러한 제조업 고용 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세부업종이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부가가치 중심, 수출 주력, 기술우위 제조업과는 독립적인 ‘일자리 제조업’을 제시한 것”이라는 연구원의 설명이다.

연구원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실제로 제조업 분야에서의 고용 총량은 ‘코로나19’ 생산 충격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산지수나 GDP 기준, 제조업에서의 생산충격은 서비스업과 비교해 비슷하거나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광공업 생산지수가 최대 14.3% 하락한 반면,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최대 7.5% 하락했다.

그러나, 생산지수가 그렇게 큰 폭으로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충격은 제조업에서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연구원에 따르면 제조업은 특히 중산층 일자리로서의 제조업 일자리에 기여한 바가 컸다. 제조업 일자리는 장시간 근로를 통해 중상위 노동소득을 거둘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특히 20~30대 청년층에게 금융업 다음으로 높은 노동소득을 제공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의약품, 의료용기기 제조업 등과 같은 바이오헬스 산업에서 양질의 고용 창출이 기대되고 있다. 또 소재·부품·장비 제조업도 전 산업 평균 이상 노동소득을 제공하는 일자리의 순증가가 기대되었다. 장기적으로 고용 순증가를 보이는 ‘일자리 제조업’ 중 화학과 금속가공은 전자제품, 자동차, 건설업 등의 ‘소재’를 생산하고, 고무·플라스틱과 전기장비는 다른 산업의 ‘부품’을 생산하는 비중이 높으며, 일반기계와 특수기계는 다른 산업의 ‘장비’를 생산하는 업종이다.

식료품 제조업의 경우 임금이 전 산업 평균보다 낮으나 대량의 고용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특히 고령층의 고용 창출이 가능한 업종이므로 정책적인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는게 산업연구원의 조언이다.

키워드
#일자리 #고용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