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완수 한국간편결제진흥원 이사장, '제로페이 2.0' 선언
...가맹점 인프라 활용 단계
소상공인과 정부 섹터로 크게 구분해 디지털화 지원
연말까지 가맹점 수 최대 150만개 예상
"제로페이 플랫폼 통해 창출된 부가가치 소상공인과 경제주체에 돌아갈 것"

윤완수 한국간편결제진흥원 이사장이 27일 기자간담회에서 제로페이 2.0 시대를 선언하며 비전을 밝히고 있다.
윤완수 한국간편결제진흥원 이사장이 27일 기자간담회에서 제로페이 2.0 시대를 선언하며 비전을 밝히고 있다.

[중소기업투데이 황복희 기자] 소상공인 간편결제시스템 제로페이가 출범 2년여만에 ‘인프라 구축’의 1.0 시대를 완성하고 2.0시대를 선언했다.

윤완수 한국간편결제진흥원 이사장(웹케시 부회장)은 27일 서울 중구 연세재단세브란스빌딩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난 2년간 우리는 아무도 안된다고 했던 제로페이의 가맹점 인프라를 어느정도 완성했다”며 “제로페이 1.0이 가맹점 인프라를 완성하는 것이라면 2.0은 그 인프라를 활용하는 단계로 넘어가는 것”이라고 밝혔다.

윤 이사장은 “카드 가맹점 기준 전국 300만개 중 85만개 정도에 제로페이가 개통됐는데 가맹점 인프라를 경부고속도로라고 치면 서울-대전 구간 정도가 오픈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제로페이 인프라를 활용해 경제주체들이 다양한 디지털화를 이뤄나가는 것, 제로페이 2.0의 방향이자 목표”라고 강조했다. 이어 “제로페이는 페이(Pay)가 아니라 가맹점 인프라”라고 전제하고 “전 세계 수백개 페이업체들이 제로페이를 이용함으로써 우리 국민은 물론이고 외국인관광객들에게 결제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윤 이사장은 “제로페이는 소상공인의 간편결제를 뛰어넘어 국가 산업의 디지털화를 위한 절박한 과제”라고 제시했다. 그는 “미래 결제수단은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결제인데 우리나라는 여전히 카드에 갇혀있다”며 “모바일결제 나아가 디지털화폐는 모든 디지털화의 근간인데 결제수단이 과거에 갇혀있으면 미래 디지털화를 꿈꿀 수 없다”고 덧붙였다.

“제로페이가 국가 산업의 디지털화에 있어 근간이 되기 위해선 우선 가맹점 확대가 필요하고 다음으로 이미 구축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확장이 따라주어야 한다”고 그는 밝혔다.

현 추세대로라면 가맹점 수가 올해 120만개에서 많게는 150만개까지, 내년에는 최대 200만개까지 갈 것으로 윤 이사장은 예상했다. 이어 “카드 가맹점 300만개 중 70~80%에 제로페이가 깔리면 결제고속도로(인프라)가 완성됐다고 볼 수 있다”며 그 시점을 2023년으로 내다봤다. 전국 지자체 가운데 서울과 경상남도는 이미 그 수준에 도달해 전체의 70~80%가 제로페이 가맹점이라고 전했다.

6개 단위의 결제 플랫폼도 구축이 됐다. 직불 제로페이, 선불 제로페이(지역사랑상품권), 법인 제로페이, 해외 제로페이, 온라인 제로페이가 완성된 데 이어 후불 제로페이가 올 하반기에 시작될 예정이다. “인프라 즉 고속도로 톨게이트가 완성됐으니 이제 차량만 많이 오가면 된다”고 그는 설명했다.

윤 이사장은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카드 결제규모 920조원 중 신용카드 결제가 716조, 체크카드 197조, 선불카드가 6조원 정도인데 이 중 선불이 폭발적으로 늘고있다”며 “지난해 제로페이 결제규모 1조1000억원 중 9000억원이 선불결제로서 지역사랑상품권 덕분에 제로페이 확산이 빨라진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그는 “10년뒤인 2030년이면 모바일 결제수단이 전체의 50~60%를 넘어서고 카드나 현금은 보조적 수단으로 자리바꿈해야만이 대한민국이 디지털화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외국인관광객의 증가와 법인 제로페이를 통해 이의 실현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코로나19가 끝나면 가장 가고싶은 나라가 대한민국이라고 하는데, 중국과 동남아를 중심으로 스마트폰 결제에 익숙해 있다”며 ”지난해 11월에 윗챗페이와 연결해 한국 체류 중국인들이 윗챗페이를 갖고 1주에 1000만원 정도씩 제로페이에서 결제를 하는데, 4~5년내 외국인관광객 쇼핑금액의 절반 이상이 제로페이로 결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제로페이 2.0'은 크게 소상공인 섹터와 정부 섹터로 나눠 디지털화를 지원하게 된다.
'제로페이 2.0'은 크게 소상공인 섹터와 정부 섹터로 나눠 디지털화를 지원하게 된다.

법인 제로페이의 경우 지난해 오픈해 테스트한 결과, 지난해만 60억 정도 성공적으로 결제가 됐고 공공기관과 일반기업 100곳이 법인카드 대신에 법인 제로페이로 테스트를 하고 있다는게 그의 설명이다. 4~5년 후엔 한해 법인카드 결제규모(155조원)의 최소 10%인 15조~20조원 정도는 법인 제로페이를 통해 이뤄질 것으로 그는 예상했다. 특히 공공섹터의 경우 정책적으로 제로페이를 쓸 것으로 보고있으며 한걸음 더 나아가 중소기업 대상으로 소비 인정액을 높여준다든지 해서 법인 제로페이를 권장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제로페이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사용량이 크게 늘었다. 재난지원금을 제로페이로 지급하고 버팀목자금, QR체크인, 중소기업 비대면 바우처 등 정책집행이 제로페이 플랫폼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윤 이사장은 “제로페이 인프라를 이용한 정책자금 디지털 플랫폼에 가장 관심을 갖고있다”며 제로페이 2.0의 전형적인 샘플이라고 말했다.

공공인프라이니 만큼 제로페이 플랫폼을 통해 창출된 부가가치는 소상공인과 경제참여자에게 돌아가게 되는데 이것이 다른 민간 플랫폼과 비교해 우선적인 강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와함께 제로페이 플랫폼은 누구나 쓸 수 있고 경쟁 참여자가 많아 시장논리에 의해 가격이 통제되는 측면 또한 있다고 덧붙였다.

윤 이사장은 제로페이 자체가 빅데이터라고 강조했다. “향후 300만 소상공인 가맹점이 생기면 살아있는 결제 데이터가 쌓인다”며 “공공섹터에서 이 데이터를 갖고 정책결정을 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에 필요한 실시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나갈 생각”이라고 밝혔다. 제로페이를 모바일로 지역사랑상품권을 발행하는 50개 정도 지자체는 올 하반기부터 실시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도 했다. 수수료를 싸게 하고 소상공인에게 유익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건이면 민간 섹터에도 인프라를 오픈할 생각이라고 그는 전했다.

“이런 플랫폼 하나 쯤 대한민국에 키워보면 좋겠다”는게 제로페이의 미래 비전을 그리고 있는 윤 이사장의 포부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