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대응 '힐링 트렌드', 아크릴, 목재간판·안내판, 조형물 ‘특수’
전시장 납품업체들 전시회 취소로 타격
실사출력·인쇄업계도 '침체'

사진은 '국제사인디자인'에 출품된 한 중소기업의 열감지기 등 방역제품으로 본문 기사와 직접 관련은 없음.
 '국제사인디자인'에 출품된 한 중소기업의 열감지기 등 방역제품.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지 1년이 지나면서 중소 제조업 현장에선 그간 ‘희비’가 엇갈리는 현상이 목격되고 있다. 시장의 사이클 곡선이 비교적 완만한 광고물이나 대기업 벤더 업계에선 비교적 그 충격이 덜한 편이었다. 그러나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주요 소비층인 인테리어나 생활자재업계는 적잖은 어려움과 피해를 감내해야 했다.

비말 차단용 칸막이 덕에 아크릴 특수?

그러나 의외로 ‘코로나19’ 덕을 본 제품도 업계엔 없지 않다. 대표적인게 아크릴 생산업체다. 식당이나 다중이용시설 등에 비말 확산으로 인한 감염을 막기 위해 칸막이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때아닌 아크릴 수요가 폭증한 것이다. 대부분의 비말 차단용 칸막이의 소재로 아크릴이 많이 선호되었기 때문이다. 경기도 외곽의 한 아크릴·PVC 제작업체 대표 A씨는 “최근 그런(칸막이용) 용도로 아크릴 제작 주문이 많이 들어온다”면서 “별로 이윤이 남는 것도 없지만, 일단 일감이 늘어나 공장 가동이 지속되고, 직원들 할 일이 생긴게 다행”이라고 했다. 특히 아크릴 조명 간판이나 패널을 주로 제작하던 업체들이 이런 주문을 많이 받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처럼 온 나라가 재난 국면에서 허덕일 때 뜻하지 않은 반사효과를 보는 경우가 중소제조업체들 간에 일어나고 있다.

‘힐링’ 분위기 속, 목재 안내판 등도 수요 늘어

나무간판이나 목재 조형물, 안내표지판 제작업체들도 그런 사례다. 특히 각 지자체나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공원이나 숲길, 둘레길, 근린공원, 숲체험장 등의 나무 소재 안내판이나 표지판 수요가 눈에 띄게 늘어났다. 이는 “아무래도 ‘코로나19’로 인해 전에 없이 쾌적하고 인적없는 산림이나 숲길 등에 대한 일반의 수요가 늘어난 것도 원인”이라는게 업계의 분석이다. 실제로 감염병으로부터 벗어나서 힐링을 꾀하며, 쾌적한 곳을 찾는 사람들이 ‘코로나19’ 이전보다 크게 늘어나고 있다. 그로 인해 지자체 등에선 공원이나 숲길을 재단장하거나, 도심 속의 녹색공간이나 녹지를 확충하는 등의 노력을 병행하고 있다. 그럴수록 목재 이정표나 공원 안내판, 목재간판, 조형물 등이 더 필요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인테리어와 함께 나무 간판 제작을 겸하고 있는 경기도 남양주의 B업체 대표도 “그런 시대 분위기 덕에 전에 부수적으로 해왔던 목재 안내판 제작이 이젠 주업이 되다시피했다”고 전했다. 관할 지자체나 산림청 등의 발주가 부쩍 늘어났다는 것이다.

생활간판은 변동없고, ‘인테리어’업체들 재미가 쏠쏠

흔히 ‘자영업자들의 흥망 주기가 짧을수록 간판 주문은 늘어난다’는 속설도 광고업계에 없지 않다. 물론 속설일 수는 있으나, 그 동안 불경기와 호황이 번갈아 이어지면서 이는 어떤면에선 사실로 드러나기도 했다.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서도 수 많은 자영업체들이 문을 닫거나, 임시 휴업사태에 들어갔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하도 자영업 침체가 심각하다보니, 전과는 달리 생활간판 주문이 그다지 많이 늘어난 것은 아니다”고 했다. 실제로 장사를 그만두고 나간 자리에 다시 다른 업종이 들어와야 하지만, ‘코로나19’ 시국에선 많은 경우 ‘공실’로 그냥 비워진 상태가 많다. 그렇다보니 개업과 폐업이 순차적으로 이어지지 않고, 간판 수요도 전과 같지 않다는 해석이다.

이에 반해 ‘코로나19’로 모처럼 재미를 본 업종 중 하나가 인테리어 업계다. 애초 리모델링이나 실내 인테리어 개선을 계획했던 주택들이 가장 큰 고객이다. ‘코로나19’ 와중의 재택근무가 늘고, 실내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자연스레 인테리어를 바꾸거나, 계획했던 리모델링을 앞당기는 사례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또 영업제한이나 집합금지 등의 규제를 당한 접객업소, 식당 중엔 아예 휴업을 하면서 ‘코로나 이후’를 대비해 대대적인 인테리어 공사를 하는 사례도 목격되고 있다. 실제로 고양시 일산서구의 한 인테리어 업체는 “그전에는 아파트 단지 중심으로 리모델링이나 인테리어 공사를 해왔는데 ‘코로나19’ 이후엔 식당이나 단란주점, 당구장 같은 곳에서 주문이 많이 들어오고 있다”고 전했다. 그 바람에 “솔직히 말해 ‘코로나19’ 이전보다 주문이 20~30% 늘어났다”는게 업체 대표의 귀띔이다.

조명업체들, ‘방역’기기로 새 시장 공략도

또 다른 풍속도는 ‘방역’ 산업의 활성화다. 특히 열감지기, 안면인식에 의한 신분 확인 등 비교적 고난도의 IT기술이 필요한 분야에 중소 제조업체들이 뛰어든 것이다. 이들 중 상당수는 라이트 패널이나 면발광 LED조명간판, 조명기기 생산업체들이다. 이들은 ‘코로나19’로 인해 시장이 침체되면서 나름대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한 결과 ‘방역산업’으로 눈을 돌린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열린 ‘건축박람회’나 ‘K-프린팅’, ‘LED엑스포’, ‘소상공인 메가쇼’, ‘국제사인디자인전(코사인전)’ 등 일부 오프라인으로 열렸던 전시장에선 이런 현상을 어렵지않게 볼 수 있었다. 그 중엔 방등이나 거실등, 혹은 투광등, 가로등과 같은 조명제품을 생산했던 G사처럼 꽤 알려진 업체도 있었다. G사의 경우는 주력 제품 라인업에 아예 건물 출입구용 열감지장치와 체온 자동측정기를 주요 아이템으로 추가한 케이스다. 이는 기왕의 컨버터 기술이나 전기제품 역률 기술 등을 바타으로 하고, 이에 초보적인 AI기술을 접목한 결과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과 애플리케이션 분야의 엔지니어 2명을 새로 채용했다”는 G사 대표의 말이다. 이런 경향은 ‘코로나19’로 인해 빚어진 또 변화 양상으로 주목을 끌고 있다.

각종 오프라인 행사 취소, 인쇄, 출력업계 주문 감소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의 영향을 직접 체감하는 분야도 있다. 실사 프린팅 위주의 출력업체들도 그에 속한다. 이들 업체들에 따르면 특히 각종 걸개나 현수막, 배너간판 등의 수요가 현격하게 줄어들었다. 이는 집합금지 대상이 될만한 대규모 행사는 물론, 소모임이나 이벤트도 거의 사라짐에 따라 행사를 알리는 홍보물이나 현수막, 배너간판 등의 수요도 자연히 줄어들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2020년 초만 해도 그나마 기존 수주물량을 납품하곤 했지만,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많게는 80% 이상 주문 물량이 줄어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고양시의 한 출력업체 관계자는 “모처럼 비싼 솔벤트(프린터)를 주문했다가 취소했다”면서 “다른 출력업체에 실사물을 납품하기로 했지만, 원청업체가 ‘코로나19’를 이유로 주문을 취소하면서 본사도 어쩔 수 없이 생산 계획을 수정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그 바람에 솔벤트나 라텍스, UV프린터 등을 생산하거나, 유통하는 업체들도 덩달아 매출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게 되었다. 주요 고객인 실사업체나 나염업체들의 상황이 안 좋아지면서, 이들 장비 제작․유통업체들의 판매고도 줄어들기 시작한 것이다.

일부 다국적 기업 계열의 업체들은 그 와중에 오히려 신제품을 도입, 소개하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서 주목을 끌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코로나19’ 이전에 비해선 많이 위축된 분위기라는게 업계를 잘 아는 관계자들의 얘기다.

오프라인 전시회 ‘불허’로 전시 전문업체들도 어려움
특히 가장 강력하게 직격탄을 맞은 곳은 전시 전문업체들이다. ‘코로나19’ 직후는 물론, 지난 여름 제2차 대유행으로 인해 거의 모든 국내 전시회가 올스톱되기도 했다. 킨텍스나 코엑스 등 전국의 대형 전시장은 그로 인해 지난 가을까지도 텅빈 상태가 되었고, 대신 ‘온라인’으로 대체되기도 했다.

그러나 옥외광고나 LED조명제품 등의 특성상 온라인 전시회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었다. 이에 지난해 가을 무렵엔 일부 전시 주관업체가 전시회를 강행했다가 당국에 제동이 걸리기도 했다. 지난해 초가을 열린 ‘MBC건축박람회’, 그리고 이와 동시에 열린 ‘사인전시회’가 대표적인 사례다. 이들 전시회는 개막 첫날 나름대로 철저한 방역 시스템을 갖추고, 입장객을 통제하면서 오프라인 전시를 감행했다. 그러나 개막 1시간 만에 해당 지자체와 방역 당국으로부터 ‘불가’ 통보가 날아들었다. 이에 주최측은 부랴부랴 안내 방송을 통해 모든 입장객들을 퇴장시키고, 참가 업체들에게도 철수해줄 것을 통보했다. 물론 각 참가업체들에게 일정한 보상을 하거나, 참가비 환불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 인해 전시 주관업체로선 막대한 피해를 감수해야 했다.

대기업, 지자체 등도 ‘코로나19’ 이유로 사업 취소 잇따라

각종 광고기획사들도 어려움이 크다. 이들은 주로 대기업으로부터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받아 광고물제작업체들에게 연결하곤 한다. 그러나 대기업은 물론, 지자체들도 ‘코로나19’를 이유로 기왕의 기획된 프로젝트나 사업들을 무기한 연기하는 사례가 줄을 이었다. 특히 지자체들의 수주에 목을 매었던 일부 광고업체들은 거의 문을 닫기 일보 직전 상태로 내몰렸다. 지자체들은 관내 지역의 방역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면서, 실내외에서 진행하는 각종 오프라인 문화사업이나 프로젝트를 취소하거나 연기하곤 했다.

이는 자연스레 최종 광고물이나 조형물 제작업체들에게까지 이어지며, 일감이 줄어들게 하는 ‘도미노 현상’이 일어났다. 실제로 서울 도림동의 한 광고물제작업체는 “간판정비사업이나, 규제를 완화한 특정구역 간판개선사업 등도 전년도의 절반도 안 될 만큼 줄어들었다”고 전했다. 평소 전국 지자체의 입찰사업에 주력해온 이 업체는 대부분의 직원들이 임시 휴직에 들어가는 등 어려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