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한국무역협회 ‘포스트코로나 수출대책' 설문조사
중소기업 1000곳 대상
"디지털 수출혁신 전략 유효"

사진은 한 중소기업의 제조 공장으로 본문 기사와 직접 관련없음.
한 중소기업의 제조공장

[중소기업투데이 박주영 기자] 수출에 주력하는 국내 중소기업들의 과반수는 해외 비즈니스가 팬더믹 이전처럼 정상화되는 시점이 빨라야 내년 말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 어려운 상황을 대비해 내년 상반기 이전에 사업 조정과 같은 자구책을 검토하겠다는 응답도 거의 절반에 달했다. 산업연구원과 한국무역협회 등이 중소기업 100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포스트코로나 수출대책’ 설문조사에선 이처럼 응답 기업들이 코로나19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향후에도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해외 수출 부진 해소를 위한 디지털 혁신을 위해 종합 지원대책도 요구하고 있다.

디지털 수출 혁신전략 중요

대상 기업들은 “코로나19의 부정적 파장이 장기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비대면 수출마케팅, 온라인 수출 같은 디지털 수출 혁신전략이 포스트코로나 대책으로 유효하다”는 응답이 다수를 차지했다. 다만 디지털 전환을 통한 수출혁신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들의 활용 수준 및 효과가 충분치 못한 점은 향후 보완되어야 할 것임을 지적했다. 특히 업종별로 온라인 수출 및 비대면 마케팅 등에 대한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남으로써 정부가 더욱 세심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줬다.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 ‘맞춤형 지원’ 필요

또 팬더믹이 산업 환경 전반의 비대면·온라인화를 앞당기고 있기 때문에 우리 수출업체들도 세계적인 디지털 변혁의 조류에 맞추어 디지털·온라인 수출 혁신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다만 디지털 수출 혁신이 개별 기업 혼자 힘으로 대비하기에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맞춤형 지원 정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조사 보고서는 “궁극적으로는 정부의 대책이 중소 수출기업 스스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으로 체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출 중소기업 역량 높이는 생태계 조성도 시급

이번 조사에서 특히 중소기업들은 “수출계약을 체결할 시 세부적인 내용을 협의하고자 해외 바이어와의 대면 협의가 반드시 필요한데, 출입국 제한 및 격리조치로 계약 체결에 차질이 있다”고 애로를 털어놓았다. 이로 인해 최근 해상 운임이 급등하고 선복이 부족한 점도 어려움 중 하나로 꼽았다. 이에 무역협회 등은 “우리의 디지털 수출혁신 관련 정책 경험이 풍부하지 못한 만큼 관련 생태계도 충분치 못하며, 수출중소기업의 디지털 혁신역량은 아직 높지 않다”면서 “무엇보다 수출중소기업의 디지털 수출 혁신 역량을 높이기 위한 생태계 조성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수출중소기업의 23.3%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디지털 수출혁신 위한 투자부담도 완화해야

또 디지털 수출혁신을 위한 중소기업의 자발적 참여가 중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자발적 참여가 필요한 기업군은 수출 강소기업 뿐 아니라, 수출초보기업 또는 지역 특화산업의 영세 중소기업 등을 망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세 중소기업의 경우 영세한 규모와 보유 경영 자원의 부족 때문에 혼자 힘으로 디지털 수출혁신에의 참여가 쉽지 않다. 이에 정부지원이 불가피하며, 디지털 수출혁신을 위한 투자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에 따라 정부는 앞으로 관련 정책 추진 시에 투자 부담 지원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어떠한 지원 대상에 대해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 등에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서 정책적 고민이 필요하다”는게 무역협회 등의 입장이다.

중소기업들 ‘B2B 온라인수출, 외부 쇼핑몰 활용’ 선호

한편 이번 조사에선 디지털 수출혁신 정책의 핵심은 온라인 수출 정책이며, 이를 위해 온라인 수출역량 격차를 해소하고, 온라인 수출관 련 스타트업과 수출중소기업 간 협력, 온라인 수출전용 쇼핑몰의 국가적 육성 등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또 온라인 수출형태는 B2C에 비해 B2B 온라인 수출을, 자체 몰 구축보다 외부 쇼핑몰 활용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는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시스템 구축을 위해 전폭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에 무역협회 등은 “B2B와 B2B의 시장 규모와 특성 또한 업종별로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업종별 맞춤형 온라인 수출 지원은 B2B 시장과 B2C 특성을 반영하여 추진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